“내사랑 참치캔, 맛있지만 너무 짜…적당히 먹어야”

박은혜 2023. 3. 31. 0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기만큼 생선을 좋아한다.

생선이 고기보다 좋다는 선입견 때문이기도 하지만, 3면이 바다로 둘러싸 있어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양질의 영양공급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소금기가 많아 너무 짜고, 통조림이기 때문에 수은 등 중금속을 함께 섭취한다는 단점도 있다.

여기에 참치 통조림은 생선인 데다 통조림이기 때문에 미량의 수은이 검출되기도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매체 ‘잇디스낫댓’, 최근 참치 통조림의 장단점 소개
“참치, 단백질 90% 구성·오메가-3 풍부…건강에 좋아”
“나트륨 함량 많아, 지방 많이 섭취할 수도, 수은 함유”
“건강에 좋은 생선이지만 통조림은 적당히 섭취해야”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기만큼 생선을 좋아한다. 생선이 고기보다 좋다는 선입견 때문이기도 하지만, 3면이 바다로 둘러싸 있어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양질의 영양공급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건강관리 식단에 생선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특히 참치 통조림은 여러 가지 음식에 들어가는 식재료다. 생선 그 자체는 요리를 하기에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손쉬운 통조림을 많이 찾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참치 통조림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소금기가 많아 너무 짜고, 통조림이기 때문에 수은 등 중금속을 함께 섭취한다는 단점도 있다. 그렇다면 참치 통조림은 우리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미국의 건강정보 사이트 ‘잇디스낫댓’(Eat This Not That)은 지난 29일(현지시간) ‘참치 통조림은 건강한가? 그것을 먹으면서 생기는 부작용’이라는 기사에서 최근 참치 통조림에 대한 정보들을 소개했다. 

참치 통조림은 단백질과 건강한 지방 등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다른 많은 통조림 식품과 마찬가지로 나트륨 함량이 높고 잠재적으로 수은 노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먼저 단백질에 대해 생각하면 계란이나 닭고기, 소고기 등이 일반적으로 떠오르기 쉽지만, 생선도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참치 통조림은 100g 당 약 20g의 단백질이 함유돼 있다. 특히 참치는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가지고 있어 완전 단백질로 분류된다. 지방과 탄수화물이 매우 적고 90%의 단백질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참치통조림.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또한 참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우울증 증상과 전반적인 기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화와 관련된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전과 염증을 줄이며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국심장협회는 일주일에 오메가-3가 든 생선을 2인분 이상 먹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참치가 좋은 영양 공급원이지만 참치 통조림을 지나치게 많이 먹을 경우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너무 많은 양의 나트륨을 섭취하면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게다가 참치 통조림은 참치를 물이나 기름이 담가 보관하는 방식인데, 기름에 담근 참치 통조림은 더 큰 풍미와 더 촉촉한 질감을 느낄 수 있겠지만, 한 끼 식사에 너무 많은 지방을 섭취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기에 참치 통조림은 생선인 데다 통조림이기 때문에 미량의 수은이 검출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지속적으로 많이 먹게 되면 수은 중독에 걸릴 수 있다. 수은이 인지 건강과 정신 기능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참치 통조림을 아예 먹지 않는 이들도 있다. 특히 임신부는 중금속 중독 위험이 있어 섭취량 조절이 필수이다.

박은혜 온라인 뉴스 기자 peh06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