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리포트] '용병'인가 '의용군'인가…10만 북한군 우크라 가나

남승모 기자 2023. 3. 31. 09: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8월 러시아 국방전문가인 이고르 코로셴코는 러시아 국영 TV에 출연해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를 돕기 위해 '의용군(volunteer force)' 10만 명을 보내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코르셴코는 이들이 포병전 대응 경험이 많다며 북한이 우크라이나의 파시즘에 맞서 싸울 국제적인 의무를 다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다면, 러시아는 이를 허용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러, 한국어 구사 장교 물색 중"

의용군 10만… 잊혀지는가 싶었던 이야기가 러시아 측에서 또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파견 지역과 규모까지 언급됐습니다. 친정부 성향의 러시아 인터넷 매체 '루스카야 베스나'는 우크라이나 언론 보도를 인용하면서 북한 의용군 부대가 러시아 편에서 싸우기 위해 우크라이나 동부 '특별군사작전' 지역으로 파견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보병과 포병이 자체 무기와 포탄을 갖고 우크라이나 전장으로 투입될 것이라며 러시아 측에선 이들과의 작전 공조를 위해 한국어를 구사하는 장교들을 물색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익명의 러시아군 총참모부 소속 장교는 "매달 1만~1만5천 명의 북한군이 투입될 수 있으며, 이는 러시아 보병을 공격 임무에서 빼내 더 훈련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군은 현대적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전투를 수행하는 데 있어 우리보다 더 잘 훈련돼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8월 포병전 대응 경험이 많다고 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이는데, 한마디로 별 장비 없는 '알보병'이지만 전투에 능하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사실 북한은 이른바 '의용군'의 도움을 가장 톡톡하게 받았던 나라입니다. 6.25 전쟁 당시, 유엔군 추격으로 압록강까지 밀렸던 북한군은 중국 의용군의 개입으로 순식간에 전세를 역전시켰습니다. 6.25 기간 동원된 전체 중공군 인원이 240만 명에 달한다고 하니, 정말 어마어마한 규모입니다. 하지만 말이 의용군이지 정규군인 인민해방군 출신들로 구성된 정예병이었습니다. 미국과 직접 전쟁을 치른다는 부담감을 피하기 위해 지원병으로 포장했을 뿐입니다.

무늬만 의용군…중공군과 뭐가 다른가

북한 측에서 나온 반응이 없으니 확인할 길은 없지만 러시아 측 보도가 사실이라면, 북한이 파견을 구상 중인 의용군도 6.25 때 중국인민지원군이 그랬던 것처럼 무늬만 의용군일 뿐 국가 주도 파병이 될 걸로 보입니다. 북한 같은 통제 국가에서 그런 대규모 병력을 지원자들로만 구성해 보낸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파병 의도입니다. 당시 중국의 파병이 자국의 안보와 자유-공산 진영 간 대결 구도에 따른 것이었다면, 이번 북한의 의용군 파견 결정은 일종의 거래 성격일 가능성이 큽니다.

북한은 그간 전쟁 장기화로 무기 부족을 겪고 있는 러시아에 탄약을 수출해온 걸로 알려졌습니다. 미 백악관은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추가 탄약 확보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는 새 정보가 있다면서 슬로바키아 국적의 무기 거래상을 통해 추진 중이었던 거래의 일환으로 24종 이상의 무기와 탄약을 평양으로부터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러시아가 북한에 대표단 파견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과 탄약을 받은 대가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북한이 실제 의용군 파견에 나설 경우, 이는 식량난 등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일종의 용병 수출이 될 걸로 보입니다. 북한은 이전에도 군사 훈련, 혹은 특수전 분야에서 용병을 수출해온 걸로 알려졌습니다. 사실 수십 년간 이어진 경제 제재 속에서 팔 수도 팔 것도 없는 북한이 가장 확실하게 내세울 수 있는 수출 상품은 용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장 한국이 쳐들어올 위험도 없는 상황에서 정규군만 100만이 넘는 북한 입장에서는 어디든 써먹을 수 있다면 가장 손쉽게 쓸 수 있는 돈 벌이 수단인 셈입니다.


나아가 북한 입장에서는 식량, 무기, 에너지 등 다방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끈끈하게 만들어갈 수 있는 더 없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안보리 거부권을 쥔 러시아인 만큼 국제 무대에서 보탬이 되는 건 덤입니다. 이런 점들을 감안하면 러시아 측 보도가 꼭 허황된 것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북한 의용군이 현실화한다면 우리나라를 포함해 서방에서는 침략 전쟁에 용병으로 참전한다며 비난을 쏟아내겠지만 러시아는 '한국을 포함해 각국에서도 의용군으로 우크라이나군을 돕지 않았나"라고 방어할 게 뻔해 보입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할수록 골치 아파지는 건 미국만이 아닙니다.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살인병기 수준인 북한 의용군과 맞닥뜨린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현실이 되지 않길 바랄 뿐입니다.

(사진=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남승모 기자smna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