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억년 전 빅뱅부터 인류 탄생까지… 우주 역사 통해 보는 미래[과학자의 서재]

2023. 3. 31. 09: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은 어렵고 지루하다.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살피는 역사와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살피는 자연사를 확장하면 어떨까? 타임스케일을 우리나라가 시작된 5000년 전에서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한 30만 년 전, 생명이 등장한 38억 년 전, 빅뱅의 순간인 137억 년 전까지 확장하자는 것이다.

역사학자들이 다른 영역에 침투할 수 있었던 것은 과학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과학자들이 역사학자들과 함께 빅히스토리를 널리 알리려고 했던 이유는 분명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과학자의 서재

과학은 어렵고 지루하다. 과학자에게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역사는 재밌다. 역사(history)에는 이야기(story)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엄마와 할머니가 해준 옛날이야기를 지금은 하나도 기억 못 하지만 그 이야기는 얼마나 재밌었는지 우리는 잘 안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가 뭘까? 선조의 찬란한 문화를 보면서 뿌듯한 마음을 가지려고 하는 건 아닐 거다. 우리가 역사에서 배우는 모든 나라는 망했다. 로마제국, 한나라, 통일신라, 고려, 조선 모두 망했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어떻게 하면 우리가 망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더 지속가능할지 반추하기 위해서다.

자연사도 마찬가지다. 3억 년 동안 바다를 지배했던 삼엽충은 왜 멸종했는지, 1억6000만 년 동안이나 육상을 지배했던 공룡은 왜 멸종했는지 살펴보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 인류가 조금 더 지속할 수 있을지 고민하자는 것이다.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살피는 역사와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살피는 자연사를 확장하면 어떨까? 타임스케일을 우리나라가 시작된 5000년 전에서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한 30만 년 전, 생명이 등장한 38억 년 전, 빅뱅의 순간인 137억 년 전까지 확장하자는 것이다. 이것을 빅히스토리라고 한다.

자연사와 빅뱅의 영역은 역사학자의 대상이 아니었다. 역사학자들이 다른 영역에 침투할 수 있었던 것은 과학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에 빅히스토리를 도입한 분은 이화여대에서 미국사를 가르치던 고 조지형 교수다. 그와 천문학자, 생물학자, 물리학자 등이 손을 잡고 빅히스토리를 적극적으로 보급했다.

과학자들이 역사학자들과 함께 빅히스토리를 널리 알리려고 했던 이유는 분명하다. 과학이라는 창을 통해 역사를 보면 과학과 인간을 더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성과가 있을까? 빅히스토리가 사회에서 작동하는 시점은 언제일까? 빅히스토리 애호가가 빅히스토리 책을 내는 시점이 아닐까?

‘사피엔스의 깊은 역사’(바다출판사)를 펴낸 송만호는 철학과를 졸업하고 30여 년 변리사로 활동한 후 은퇴한 노인(!)이다. 역사와 과학 모두 그의 전공이 아니다. 책은 당연하게도 빅뱅으로 시작한다. 빅뱅의 의미가 무엇일까? 시간과 공간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그 안에 수소 원자핵을 뿌렸다. 모든 것의 시작이다. 책은 지구-육지-생명의 탄생으로 이어지고 생명이 다양해지고 멸종하는 자연사의 근간을 이야기하며 호모사피엔스를 다룬다. 그리고 뇌와 지능을 깊이 있게 다룬다. 이 점이 다른 빅히스토리 책과 다른 점이다.

저자는 깊은 내용을 어깨에 힘을 빼고 친절하게 알려준다. 과학자라면 이렇게 친절하게 설명하지 못했을 것이다. 평생 독자였던 저자가 말년에 낸 책이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를 균형감 있게 이해해 시야를 넓히면서 아울러 인문학적 소양을 살찌우기에 제격인 책이다.

이정모 과학저술가(전 국립과천과학관장)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