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 탈락 팀 정규리그 결산] ‘개막 전 예상은 우승 후보’ KT, 현실은 8위

손동환 2023. 3. 31.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예상과 현실은 달랐다.

수원 KT는 2021~2022시즌 종료 후 허훈(180cm, G)과 함께 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T는 2022~2023 개막 미디어데이에서 우승 후보로 평가받았다.

포지션별로 탄탄했던 KT였기에, KT는 우승 후보로 평가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상과 현실은 달랐다.

수원 KT는 2021~2022시즌 종료 후 허훈(180cm, G)과 함께 하지 못했다. 허훈이 군대에 입대했기 때문이다. 외국 선수 2명도 전원 교체. KT의 전력은 뭔가 불안정해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T는 2022~2023 개막 미디어데이에서 우승 후보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현실은 예상과 달랐다. 플레이오프 탈락을 일찌감치 확정했다.

# 탄탄한 전력

허훈이 입대했지만, 양홍석(195cm, F)과 정성우(178cm, G)가 원투펀치로 꼽혔다. 하윤기(204cm, C)의 성장 역시 기대되는 요소였다.
세 명의 선수를 받쳐줄 이도 많았다. 먼저 가드진. 피지컬과 수비력을 지닌 박지원(190cm, G)과 공격력과 스피드를 강점으로 하는 최성모(187cm, G), 경기 운영 능력과 패스 센스를 갖춘 최창진(184cm, G)이 정성우의 뒤를 책임질 수 있는 이들이었다.
KT의 가장 큰 강점은 포워드 라인. 노련함과 영리함을 겸비한 김동욱(195cm, F)과 주장이자 베테랑으로서 안정감을 지닌 김영환(195cm, F), 활동량과 수비력을 갖춘 한희원(195cm, F)은 KT의 강점을 배가할 수 있는 선수였다.
빅맨 역시 탄탄했다. 김현민(198cm, F)이 빠져나갔지만, 김동량(198cm, F)이 새로운 백업 빅맨으로 낙점받았다. 큰 키에 슈팅 능력을 지닌 김민욱(205cm, C) 또한 하윤기에게 힘을 실을 수 있는 선수였다. 포지션별로 탄탄했던 KT였기에, KT는 우승 후보로 평가받았다.

# 꼬여버린 시작, 꼬여버린 마무리

KT는 2022~2023시즌 개막 전에 열린 KBL 컵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2022~2023시즌 개막 후 상대와의 경쟁에서 밀렸다. 특히, 외국 선수 2명(랜드리 은노코-EJ 아노시케)이 자기 몫을 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좋았던 국내 선수마저 빛을 잃었다.
KT는 3라운드 중반까지 7승 15패를 기록했다. 최하위.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외국 선수 2명을 모두 교체했다. 대체 외국 선수 2명(재로드 존스-레스터 프로스퍼)이 상승세를 주도했고, KT는 6연승을 질주했다.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하지만 상승세의 주역들이 상대 전력분석을 극복하지 못했다. KT의 기세는 가라앉았다. 특히, 6라운드에 6연패. KT는 2018~2019시즌부터 이어왔던 플레이오프 연속 진출도 실패.
시작부터 꼬였던 KT는 마무리마저 꼬였다. 팀을 5년 간 이끌어왔던 서동철 KT 감독과 계약 마무리. 새로운 팀을 꾸릴 확률이 높아졌다.

[수원 KT, 2022~2023 팀 2차 스탯]
1. OFFRTG : 106.8 (8위)
2. DEFRTG : 111.5 (최다 1위)
3. NETRTG : -4.7 (8위)
4. TS(%) : 53.2% (8위)
5. AST(%) : 59.1% (3위)
6. AST/TO : 1.6 (7위)
7. ORB(%) : 31.9 (2위)
8. DRB(%) : 69.2 (8위)
9. PACE : 71.1 (8위)

 * OFFRTG : 100번의 공격 기회에서 득점 기대치
 * DEFRTG : 100 번의 수비 기회에서 실점 기대치
 * NETRTG(OFFRTG-DEFRTG) : 공격과 수비의 균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
 * TS(%)

  1) 3점슛, 자유투에 보정을 가한 슈팅 효율성 수치
  2) 2점슛, 3점슛, 필드골 이외에도 자유투(낮은 비중)까지 포함한 수치로 실질적인 슛에 대한 수치
  3) 보통 골밑을 메인 옵션으로 삼는 팀이 높은 수치를 기록
 * AST(%) : 야투 성공 대비 어시스트 동반 점유율
 * AST/TO : 안정성 있게 득점을 위한 어시스트를 잘 전달한 팀이 높은 수치를 기록
 * ORB(%) : 공격 리바운드 점유율
 * DRB(%) : 수비 리바운드 점유율
 * PACE : 해당 팀의 경기 속도


사진 제공 = KBL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