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생각] 그 여자에게 책 한 권을 건넬 수 있다면

한겨레 2023. 3. 31. 05: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가 자란 방에는 한쪽 벽을 차지한 책장이 있었다.

'당신은 엄마로 태어난 존재가 아니에요. 이혼은 당신의 실패가 아니라 결혼제도의 실패고, 내 삶을 책임지는 방식이기도 해요. 당신은 여러 겹을 가진 귀한 존재예요.' 가족이라는 울타리에 익숙해져 감히 다른 자신을 상상하지 못하는 그 여자에게 내가 한 권의 책을 선물할 수 있다면.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승은의 소란한 문장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엄마와 딸의 공동 회고록
하재영 지음 l 휴머니스트(2023)

내가 자란 방에는 한쪽 벽을 차지한 책장이 있었다. 원목 필름지가 붙은 오래된 책장에는 먼지 쌓인 책들이 다닥다닥 꽂혀 있었다.

종교 서적, 소설, 수필. 책장에 꽂힌 책을 볼 때마다 궁금했다. 엄마와 아빠는 이 많은 책을 다 읽었을까? 아빠는 퇴근하면 티브이(TV) 앞에서 한숨 쉬다가 방에 쏙 들어갔고, 엄마는 그런 아빠를 보며 한숨 쉬었다. 대화보다 한숨과 티브이 소리가 더 자주 울리는 집. 아주 가끔 엄마가 책 읽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언제부턴가 엄마 손에는 책이 아닌 술병이 들렸다. 책과 엄마. 엄마와 아빠. 나열한 두 단어 사이에는 결코 닿을 수 없는 거리감이 있었다.

방치된 책에 손을 뻗은 건 나였다. 책과 내가 비슷한 처지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두 사람이 언젠가 무척 아끼며 읽었을 책들. 그때 읽은 책 제목은 기억나지 않지만, 밑줄 모양은 기억한다. 엄마의 밑줄은 물결 모양이었다. 나는 밑줄을 따라가며 책을 읽었다. 책을 읽기보단, 엄마를 읽고 싶었다. 그때 내게 독서는 이해할 수 없는 존재를 이해하려는 노력이었다.

엄마가 읽은 문장이 나에게 떠오른 날이 있다. ‘이혼하면 모든 게 나아질 거라고 믿는 건 순진한 생각이다. 결코 사랑할 수 없을 것 같은 사람을 사랑하는 게 참사랑이다.’ 종교 서적이었나, 심리 서적이었나. 아마 엄마는 아빠와 이혼을 고민하던 무렵, 아니, 결혼제도 안에서 고립감과 설움을 느끼던 모든 날들에 살고 싶어 책을 들췄을 거다. 예쁜 표지의 책에는 여자의 도리를 지키라는 재촉이 있었고, 엄마는 그 책에 따라 계속 참아왔을 거다.

당장 과거로 달려가서 엄마에게 다른 언어를 선물하고 싶다. ‘당신은 엄마로 태어난 존재가 아니에요. 이혼은 당신의 실패가 아니라 결혼제도의 실패고, 내 삶을 책임지는 방식이기도 해요. 당신은 여러 겹을 가진 귀한 존재예요.’ 가족이라는 울타리에 익숙해져 감히 다른 자신을 상상하지 못하는 그 여자에게 내가 한 권의 책을 선물할 수 있다면.

그렇게 간절한 마음으로 서점을 뒤진 날이 있었다. 그때도 지금도 ‘엄마’를 소재로 한 책은 넘친다. ‘엄마’는 많은 창작자의 단골 소재다. 누군가는 모성을 찬양하고, 누군가는 불효자는 운다며 자책하고, 누군가는 기준에 벗어난 그 여자를 겨냥하며 모든 게 엄마 탓이라 비난한다. 가장 오염되어서 한없이 부족한 엄마 서사에서 내가 건넬 책이 있을까? 왜 그렇게 살고 있느냐 다그치지 않고, 그간의 노동을 긍정하면서도, 자기 안의 힘을 믿도록 안내하는 책. 그 힘을 느낀 뒤에 어떤 선택을 해도 가만히 곁을 주는 책. 다채로운 표정이 있는 책.

상상 속에서 나는 하재영 작가와 작가의 어머니가 공동 회고록으로 엮은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를 엄마에게 내민다. 스무 살에 결혼해 남편과 아이를 키우느라 자기를 돌보는 법을 잊고 살던 여자는 모처럼 책 선물에 기뻐할 거다. 제목을 보고 조금은 놀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책을 읽겠지. 책 속 두 여자의 이야기를 읽다가 물결 모양 밑줄을 그을 거다. 그렇게 그들의 삶을 읽다가 어느 순간 멈출 거다. 작가가 그토록 바랐던, ‘엄마의 역할을 맡은 한 사람의 이야기’에서 자기 이야기를 발견하고, 책 구석구석에 글자를 적을 거다. 아마 그녀의 첫 문장은 “나는 평범했어.”(22p)로 시작할 수도 있겠다.

홍승은/집필노동자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