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꽃놀이패[특파원칼럼]

베이징(중국)=김지산 특파원 입력 2023. 3. 31. 04:31 수정 2023. 5. 16. 00: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 미국은 중국을 향해 고율 관세 부과를 통한 무역분쟁을 시작했다.

미국과 중국의 대결하다 끝이 날 것이라고 봤다.

미국 정도면 몰라도 무역 초강대국 중국을 손절하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얼마 전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회담을 지켜보며 중국이 미국에 당할 거라는 생각을 또 한 번 고쳐먹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 미국은 중국을 향해 고율 관세 부과를 통한 무역분쟁을 시작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미국의 압승을 예견했다. 중국이 'G2(주요 2개국)'의 한 축으로 부상했다고 해도 세계의 경찰이자 세계 무역의 중심, 그리고 달러 패권을 쥔 미국의 압박을 견딜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건 무리였다.

기자 역시 마찬가지였다. 미국과 중국의 대결하다 끝이 날 것이라고 봤다. 돌이켜보면 참으로 순진했다. 리먼 브러더스 사태에서부터 우크라이나 전쟁, 가장 최근 사태로 SVB(실리콘밸리은행) 파산 같은 크고 작은 일들이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국제 질서를 다시 쓰게 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우크라이나 전쟁만 봐도 그렇다. 러시아를 혼내주겠다던 미국과 유럽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전쟁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 그 사이 중국과 러시아는 한 배를 타고 상호보완적 경제 공동체로 변신했다.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같은 큰 의미의 권위주의 국가들은 자유 진영 반대편의 거대 세력으로 덩치를 키웠다. 이들을 통째로 손 봐줄 수 있는 나라는 없다.

미국을 대표로 한 서구 진영은 어떨까. 우크라이나 전쟁은 물론 대중 전략에서도 힘은 분산된다. 당연히 조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봉쇄 정책은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모습이다. 중국이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에 그쳤다고는 하나 제로 코로나 같은 중국 스스로 패착 때문일 뿐 외부 요인은 없었다.

반도체 봉쇄가 그나마 위협적인데 중국에 제대로 타격을 입히려면 적잖은 시간이 필요하다. 유럽은 별로 손을 쓸 의사가 없어 보인다. 미국 정도면 몰라도 무역 초강대국 중국을 손절하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대중 강경론자들은 지금도 미·중 간 패권 다툼에서 중국이 무너질 거라고들 한다. 하지만 중국이 다칠지는 몰라도 힘없이 쓰러질 거라고 여기는 건 희망 사항이다. 미국이 환율이든, 석유든, 반도체든 전력을 다해 중국을 친다면 미국 스스로도 크게 다칠 수밖에 없다. 그렇게 으르렁거리면서도 지난해 미·중 무역 교역액이 6906억달러로 사상 최대였다는 건 많은 걸 시사한다.

얼마 전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회담을 지켜보며 중국이 미국에 당할 거라는 생각을 또 한 번 고쳐먹었다.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한 얘기는 거의 하지 않고 중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내용들로 가득했다. '하나의 중국', 러시아의 위안화 결제 확대, 서구 기업의 빈자리를 중국 기업으로 채우겠다는 약속, 러시아가 왜 관심을 갖는지 모를 후쿠시마 오염수까지.

연신 미소를 띤 푸틴 대통령 얼굴과 달리 시종일관 무표정한 시진핑 주석에게서 러시아와 러시아 앞마당으로 여겨지던 중앙아시아 경제 패권을 중국이 접수할 거라고 예감한 건 기자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익명의 국제 관계 전문가 표현을 빌리자면 중국은 '꽃놀이패'를 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에 역할을 할 이유가 없다. 러시아가 힘이 빠질수록 유라시아 대륙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진다. 미국이나 유럽도 마찬가지다. 천문학적 비용을 쏟아붓느라 국력은 약해진다. 그럴수록 중국을 내칠 여력은 사라지고 무역 의존도는 더 높아질 게 뻔하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그렇게 만나고 싶다고 해도 시 주석이 먼 산만 바라보는 건 전쟁에 개입하지 않으려는 이유 때문만은 아니다.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로마를 멸망시켰듯, 세계 정세는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 적과 아군을 예단할 수 있는 시대는 저물어가고 있다.


베이징(중국)=김지산 특파원 sa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