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아파트, 9개월 연속 증가세
전체 83.3%는 여전히 지방에 집중
증가 폭 주춤…‘악성’ 물량은 급증
정부는 “개입할 수준 아니다” 뒷짐
지난 2월 전국 주택 미분양 물량이 전달에 이어 2개월 연속 7만5000가구를 넘어섰다. 미분양 증가세는 다소 주춤해졌지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큰 폭으로 늘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 자료를 보면 전국 아파트 미분양은 7만5438가구로 전월(7만5359가구)보다 0.1%(79가구) 늘었다. 미분양이 일시적으로 증가해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소되던 과거와 달리 미분양은 지난해 5월(2만7000가구) 이후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방의 미분양이 소폭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미분양 물량의 83.3%는 지방에 집중돼 있다. 특히 대구는 1만3987가구로 여전히 지방에서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다.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1만2541가구로 전월(1만2257가구)보다 13.4%(1008가구) 늘었고, 지방 미분양 물량은 6만2897가구로 전월(6만3102가구)보다 0.3%(205가구) 줄었다. 그러나 지방은 여전히 미분양 위험선(6만2000가구)을 넘어서고 있다.
수도권 내에서 특히 서울의 미분양이 2099가구로 전월(996가구)보다 110.7%(1103가구) 증가했다. 다만 이는 최근 소형 평형 물량까지 ‘완판’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재건축(올림픽파크 포레온), 성북구 장위자이 등의 2월 당시 미분양 물량이 포함된 것으로 3월 미분양 통계에서는 해당 증가분이 모두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3209→3154가구)과 경기(8052→7288가구)는 각각 1.7%, 9.5%씩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었다.
지방은 준공 전 미분양 물량이 준공 후 미분양으로 넘어가면서 지방 중소건설사의 자금난이 앞으로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개입할 수준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12월 미분양 물량이 전월(1만7710가구) 대비 5배 넘게 증가한 6만8148건을 기록했을 당시에도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현재 미분양은 건설사의 가격할인 등 자구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크게 증가했다. 준공 전까지 미분양으로 분류되던 물량들이 준공시점까지 판매되지 않으면서 악성 미분양 물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2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554가구로, 전월(7546가구) 대비 13.4%(1008가구) 증가했다.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실 행정관 “헌재 향하는 모든 곳서 대통령님 응원을” 지지자 결집 유도
- [속보]경찰, 헌법재판소 근처에서 경찰 폭행한 여성 1명 체포
- “윤석열과 싸운 이준석처럼”···개혁신당 허은아, 당원소환에 가처분 예고
- [속보]윤석열, 헌재 등장 첫 발언은 “난 자유민주주의 신념으로 살아온 사람”
- [속보] 윤석열 측 “포고령은 김용현이 작성한 것…실행 계획 없었다”
- [속보]삼엄한 경계에 막힌 윤 지지자들, 윤석열 헌재 등장하자 “파이팅!”
- “말 안 듣는다”…11살 아들 둔기로 때려 숨지게 한 40대 아빠 구속
- “김해엔 빨갱이 많다” 국민의힘 김해시의원들 집회 발언 파문
- [단독]국회 “헌재가 마은혁 후보자 헌법재판관으로 인정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