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농지 소유 45.3%"…2,037명 고위 공직자 재산 내역 살펴보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30일 행정부 정무직(장·차관급) 및 1급 공무원, 국립대학총장 및 시·도 교육감,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등 2천37명의 재산 공개 내역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스프 데이터창고에서 누구나 확인 가능 <마부작침> 은 누구나 공직자들의 재산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정부 소속 고위 공직자 2천37명의 재산 현황을 엑셀 파일로 [ https://premium.sbs.co.kr/ ]데이터창고에 공개했다. 마부작침>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30일 행정부 정무직(장·차관급) 및 1급 공무원, 국립대학총장 및 시·도 교육감,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등 2천37명의 재산 공개 내역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2,037명 재산 분석 위해 엑셀 파일로 변환
윤석열 대통령 77억 원…1위는 532억 원 조성명 강남구청장
수석비서관급 이상 참모진 중에서는 김은혜 홍보수석이 264억 9천만 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고, 김태효 안보실 1차장 131억 1천만 원, 이관섭 국정기획수석 75억 원, 김대기 비서실장 73억 5천만 원, 안상훈 사회수석 68억 4천만 원,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52억 2천만 원 순이었다.
내각에서는 한덕수 총리가 85억 2천만 원을 신고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총 148억 7천만 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농지 소유 고위 공직자 45.3%…농지법 위반 가능성 있어
정부공직자윤리위는 이번에 공개된 모든 공직자의 재산 변동사항을 오는 6월 말까지 심사해 과다한 재산변동에 대해서는 재산형성 과정을 집중 심사할 예정이다. 특히 직무상 비밀을 이용한 부동산 취득 여부, 법인을 통한 부동산 명의신탁 여부 등을 심층 심사할 방침이다.
심사에서 법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 또는 징계 의결 요구 등의 조치가 이뤄진다.
스프 데이터창고에서 누구나 확인 가능
[ https://premium.sbs.co.kr/ ]데이터창고에 공개했다.
[ https://data.sbs.co.kr/?data_id=10000021 ]
배여운 기자woons@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황사의 계절…중국 '사막 영웅'의 절규
- “둘이 싸웠어?”…'언팔' 사건의 전모
- “제정신 잘 박혀있다”…유아인 응원한 김송, 비판한 네티즌과 설전
- “달리는 지하철 창문 뜯어간 황당 절도범 찾아요”
- 1년에 알바 169번 뽑은 편의점…일하며 받은 점주 문자
- “부의금 적잖아” 모친 장례식날 부친 살해한 아들, 감형받았다
- 화제의 '킹산직' 서류 결과 발표…채용 페이지 '마비'
- BTS RM 개인정보 18번 무단 열람한 코레일 직원 '해임'
- “초등생이 동급생 상습 성추행” 신고…교육청 진상 조사
- BTS 정국이 탔던 벤츠, 경매 4개월 만에 중고 매물로…가치는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