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軍시설·울릉도 배편 기록 '희귀 대동여지도' 日서 돌아왔다

이한나 기자(azure@mk.co.kr) 2023. 3. 30. 17: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환수 문화유산 공개
1만1천개 지명·지리정보 담아
23권 책자 펼치면 초대형 지도
30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청장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관계자들이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희소본을 펼쳐 공개하고 있다. 박형기 기자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만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목판본에 동여도(東輿圖)의 상세한 지리 정보가 붓글씨로 추가된 새로운 지도가 발견돼 국내로 돌아왔다. 두 지도가 합쳐진 형태는 희소해 기존에 보물로 지정된 지도보다 학술적·역사적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목록 1첩(帖·묶어놓은 책), 지도 22첩 등 총 23첩으로 구성된 '대동여지도'를 일본에서 환수했다고 30일 밝혔다.

김기혁 부산대 명예교수는 "동여도를 필사해 목판본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한 최초 사례"라며 "조선시대 지리 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존에 동여도 2점과 대동여지도 갑자본 1점, 신유본 2점이 보물로 지정된 상태라 그 이상의 가치가 있다"며 "대동여지도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지도는 1864년 제작된 대동여지도(갑자본) 목판본(木板本)에 필사한 동여도가 합쳐졌고, 구성도 22첩이 아니라 23첩 동여도를 따랐다. 동여도는 1860년께 김정호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필사본(筆寫本) 지도로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 지리 정보가 풍부하고 지명도 1만8000여 개로 대동여지도(1만1000여 개)보다 많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를 담은 제2첩에는 1712년 조선과 청나라 사이 국경선을 표시하기 위해 세운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와 군사시설 간 거리가 적혀 있다. 또 울릉도 일대를 묘사한 제14첩에는 울릉도로 가는 배의 출발지가 기록돼 있다.

김정호는 1861년 대동여지도(신유본)를 처음 찍어낸 뒤 1864년에 지도를 다시 펴냈다. 당시 간행 부수는 확실치 않으나 현재 판본만 국내외 38점이 됐다. 신유본 26점, 갑자본 7점 등이 확인됐고 최근 이건희 컬렉션 2점도 추가됐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가로 20㎝, 세로 30㎝ 책자로 구성된 23첩을 모두 모으면 가로 4m, 세로 6.7m 규모의 초대형 전국 지도가 완성된다.

재단은 지난해 7월 일본의 한 고서점이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복권기금으로 구매했다. 대중 공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한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