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완동물 키우는 집에서 자란 아이, 면역력 높다…‘이것’ 때문

박은혜 2023. 3. 30. 16: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나 고양이를 키우는 집에서 자란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음식 알레르기 발병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이는 반려동물에 대한 노출이 특정 장내 미생물의 풍부함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장내 세균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알레르기 질환 발생률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연구팀 “반려동물에 대한 노출, 특정 장내 미생물이 풍부함 증가”
“장내 박테리아의 다양성 증가로 알레르기 발병률 낮아질 가능성↑”
“‘위생 가설’에 따라 반려견‧반려묘와의 접촉 오히려 면역력에 도움”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개나 고양이를 키우는 집에서 자란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음식 알레르기 발병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이는 반려동물에 대한 노출이 특정 장내 미생물의 풍부함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장내 세균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알레르기 질환 발생률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후쿠시마의대 오카베 히사오 박사 연구팀의 논문을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일본 내 6만6000명 이상의 아동을 대상으로 태아기부터 유아기 초반까지 반려동물 노출 여부를 추적해 3세 이하 아동의 음식 알레르기 발병률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내에서 반려견과 함께 자란 아이는 계란·우유·견과류 알레르기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실내에서 반려묘와 함께 자란 아이의 경우 계란·밀·콩 알레르기를 겪을 가능성이 낮았다. 

이와 함께 태아기와 유아기 초반 모두 반려동물에 노출된 아이들은 태아기나 유아기 초반 중 한 시기에만 노출된 아이에 비해 음식 알레르기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안에서 반려견을 키우는 아이들은 집 밖에서 반려견을 키우는 아이에 비해 알레르기 발병률이 낮았다.

다만 햄스터에 노출됐을 땐 견과류 알레르기 발병률이 되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생선·과일·갑각류·메밀국수 알레르기는 반려동물에 대한 노출과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도 개나 고양이가 아닌 거북이나 새 등의 다른 반려동물 역시 음식 알레르기 발병률을 의미 있게 낮추지 못했다.

연구팀은 종합적으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이 아이의 소화관에 예방주사를 놓는 효과를 냄으로써 일종의 면역관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오카베 박사는 “반려동물에 노출되면 특정 장내 미생물이 풍부해지고 장내 박테리아의 다양성이 증가해 알레르기 질환 발생률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너무 깔끔하면 오히려 병에 잘 걸린다’는 이른바 ‘위생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 온라인 과학 전문지 ‘공공 과학 도서관’(PLOS One)에 게재됐다.

이와 관련,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에드윈 킴 박사는 WSJ에 미생물 접촉이 적은 선진국에서 실제로 식품 알레르기 발생률이 높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지나치게 청결한 환경이 면역체계엔 도전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 아동 가운데 5%는 음식 알레르기를 겪고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박은혜 온라인 뉴스 기자 peh06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