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노후가 불안하다”...퇴직연금 5년 평균수익률 1.9%.

김명환 기자(teroo@mk.co.kr) 2023. 3. 30. 15: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고용부, 퇴직연금 업무설명회 개최
상반기 퇴직연금 기능강화 방안 마련 예정
해당 사진은 기사 본문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픽사베이]
금융감독원은 30일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와 함께 금감원 대강당에서 ‘2023년도 퇴직연금 업무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과 고용노동부 관계자들은 설명회에 참석한 금융회사 관계자들에게 퇴직연금과 관련한 주요 정책과 감독 방향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설명회에서 이정한 고용부 노동정책실장은 “퇴직연금이 국민의 노후를 든든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연금성·보장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상반기에 퇴직연금 기능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지난해 시행된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등 새로운 제도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기업과 근로자에게 충실한 서비스를 제공해달라고 금융회사에 당부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퇴직연금의 연금성 강화 방향은 ▲ 퇴직연금 제도 단계적 의무화 추진 ▲ 중소 퇴직기금 제도 활성화 ▲ 중도 유출 최소화를 위한 제도 개편 사항 논의 등을 골자로 한다.

금융당국의 경우엔 금융회사들이 더 좋은 퇴직연금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자 간 경쟁을 촉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미영 금감원 부원장보는 “현재 퇴직연금 시장은 저조한 수익률 등의 문제가 있다”며 “수익률을 개선해 노후 보장 기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감독 업무를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감원에 따르면 퇴직연금의 최근 5년 평균 수익률은 1.96%에 그쳤다. 자본시장연구원 남재우 연구위원은 ‘연금 산업의 시대 과제’라는 주제 발표에서 “현재는 퇴직연금의 노후 보장 기능이 미흡해 개혁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거론된다”며 “많은 국민이 연금 자산을 의미 있게 축적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