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굉음에 스트레스 받은 도마뱀 더 먹고 덜 움직여

엄남석 2023. 3. 30. 1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마뱀이 항공기가 낮게 날며 내는 굉음에 스트레스를 받고, 더 많이 먹고 덜 움직이는 방식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 생물학 부교수 리즈 오브리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콜로라도 스프링스인근 미군기지 '포트 카슨'(Fort Carson) 내에 서식하는 도마뱀의 생태를 조사해 얻은 이런 결과를 '양서류·파충류 과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Amphibian and Reptile Science)에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헬기·전투기 이착륙 찾은 미군기지 주변 생태조사 결과
콜로라도 체크무늬 채찍꼬리 도마뱀(A. neotesselata) [Carina Kusak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도마뱀이 항공기가 낮게 날며 내는 굉음에 스트레스를 받고, 더 많이 먹고 덜 움직이는 방식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 생물학 부교수 리즈 오브리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콜로라도 스프링스인근 미군기지 '포트 카슨'(Fort Carson) 내에 서식하는 도마뱀의 생태를 조사해 얻은 이런 결과를 '양서류·파충류 과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Amphibian and Reptile Science)에 발표했다.

포트 카슨에는 아파치와 치누크, 블랙호크 등의 헬기는 물론 수송기와 F-16 전투기 등도 이착륙하는데, 멸종위험종으로 관리되는 약 30㎝ 길이의 '콜로라도 체크무늬 채찍꼬리 도마뱀'(Aspidoscelis neotesselatus) 서식지 상공을 비행한다.

프런티어스에 따르면 연구팀은 항공기가 지나가는 제55훈련장(TA55)의 0.05㎢ 내에 서식하는 채찍꼬리 도마뱀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군 조종사들과 사전 협의를 통해 2021년 6월 23∼25일에 정해진 시간에만 TA55 상공을 지나가고 그 이전 며칠간은 TA55 상공을 비행하지 않기로 했다.

항공기가 약 2만피트 이내 고도로 비행할 때 지상에서 측정된 소음은 33.9∼112.2 dB로 관현악단이나 전기톱이 내는 수준이었으며, 항공기가 지나가지 않을 때는 냉장고 소음 정도인 30.1∼55.8 dB로 측정됐다.

연구팀은 매일 아침과 이른 오후에 도마뱀을 약 3분간 관찰한 뒤 최대한 많이 포획해 몸무게와 크기를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했다. 이와 함께 휴대용 초음파로 무성생식하는 채찍꼬리 도마뱀의 임신 여부를 확인하고, 알의 수와 크기 등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혈액을 통해 뇌하수체의 통제로 상황이 발생하고 3∼10분 안에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농도를 측정했다. 또 포도당과 케톤, 활성산소대사물(ROM) 등의 농도도 들여다봤다.

그 결과, 혈액 속 코르티솔 농도는 항공기의 비행 뒤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포도당과 케톤, ROM 등의 농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연구팀은 도마뱀이 항공기 소음으로 혈액 속 코르티솔이 늘어나는 스트레스 반응을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발달 단계가 높은 알을 가진 암컷일수록 코르티솔 농도도 더 높았는데, 이는 번식 단계의 암컷이 소음 공해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팀은 항공기 소음에 노출됐을 때 도마뱀들이 덜 움직이고 더 많이 먹는 행동적 특성을 분명하게 드러낸다고 제시했다.

콜로라도 체크무늬 채찍꼬리 도마뱀(A.neotesselata) [Carina Kusak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연구팀은 "보상적 섭취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에너지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면서 "이는 대사나 신체활동, 생식, 호르몬 반등 등이 모두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중요하다"고 밝혔다.

논문 제1저자인 유타주립대학 박사과정 대학원생 메겐 케파스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항공기) 소음이 콜로라도 체크무늬 채찍꼬리도마뱀에게 생리적으로 측정될 만큼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도마뱀이 먹이 활동과 행동 변화를 통해 어느정도 탄력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했다.

eomn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