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불려나온 스타벅스 창업자 슐츠…“노조 탄압 없다” 주장

김유진 기자 2023. 3. 30. 14: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조 결성 방해 등 130차례 노동법 위반
해고된 직원 출석해 ‘노조 탄압 의혹’ 증언
슐츠 “업계 최고 대우”…무노조 원칙 견지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창업주가 29일(현지시간) 미 상원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가 스타벅스의 노조탄압을 주제로 연 청문회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스타벅스의 창업주 하워드 슐츠 전 최고경영자(CEO)가 29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의회 청문회장에 들어섰다. 상원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가 스타벅스의 노동조합 탄압 의혹 규명을 위해 소집한 청문회에 증인 자격으로 선 것이다. 청문회 공식 명칭은 ‘법 위에 있는 회사는 없다’였다.

상임위원장으로 청문회 개최를 주도한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은 슐츠를 향해 “지난 18개월 간 스타벅스는 미국 현대사에서 가장 공격적이고 불법적인 노조 탄압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포문을 열었다. 샌더스 의원은 “오늘 우리는 (사법) 정의 체계가 모두에게 적용되는지, 아니면 억만장자와 대기업들은 처벌받지 않고 법을 위반해도 되는 것인지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1971년 시애틀에 첫 스타벅스 매장을 연 슐츠는 50년 가까이 ‘무노조 경영 원칙’을 고수해 왔다. 2021년 12월 뉴욕의 한 점포에서 첫 노조가 탄생한 이후 현재 노조를 만든 스타벅스 매장은 전체 9300여개 중 약 300곳에 이른다. 스타벅스는 노조 결성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노조원들을 이유없이 해고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미 노동관계위원회(NLRB)는 스타벅스 사측이 80건 이상의 부당 노동행위에 가담했고, 130차례 노동법을 위반했다고 밝힌 바 있다.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29일(현지시간) 미 상원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가 스타벅스의 노조탄압을 주제로 연 청문회에서 의장석에 앉아 하워드 슐츠의 발언을 지켜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날 청문회에는 노조 활동을 하다 해고된 전직 직원 등이 출석해 스타벅스의 노조 탄압 의혹에 대해 증언했다. 스타벅스 노조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은 조합원들 수십명도 방청석에서 청문회를 지켜봤다.

그동안 청문회 출석을 거부하며 임시 CEO 자리에서까지 물러난 슐츠는 이날 노조 탄압 지적을 적극 반박했다. 슐츠는 스타벅스가 업계 최고 대우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노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스타벅스 직원들의 시간당 임금은 17.5달러이고, 다른 혜택을 포함하면 시간당 27달러에 육박한다”며 “미국 내에 우리만큼 업계에서 높은 혜택을 주는 회사는 없다”고도 주장했다. 샌더스 의원의 지역구인 버몬트주의 최저 임금이 13.18달러라고도 지적했다.

슐츠는 또 노동법 위반 결정에 대해선 항소 중이라고 밝혔다. 청문회 당일 스타벅스는 주주들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단체협약 관리와 노조결성권 등에 관해 독립적인 평가를 발족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의원들은 스타벅스가 노조 결성 이후 도입한 직원 혜택을 조합원들에겐 주지 않고 있고, 노조라는 기구가 있어야 노동자와 경영진 간 권력 불균형을 시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자영업자 출신의 존 히켄루퍼 의원은 “노조를 결성할 권리, 그리고 노조에 가입할 기회야말로 중산층으로 가는 핵심 요소이자 미국의 안정을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반면 빌 캐시디 상임위 간사를 비롯한 공화당 의원들은 “청문회가 특정 기업과 개인에 대한 헐뜯기의 장이 되었다”며 슐츠를 옹호했다. 미트 롬니 의원은 “부자들이 일자리 한 개도 만들지 못한 사람들에 의해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벅스의 반노조 행위가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된 것은 지난 몇년 동안 미국 전역에서 노조 결성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진 것과 무관치 않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2022년 노조에 가입한 노동자는 약 20만명 증가했다. 지난해 여름 실시된 갤럽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71%가 노동조합을 찬성했는데, 이는 196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무료 배송의 비용: 세계경제에서의 아마존> 저자인 제이크 윌슨은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는 청년 노동자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다”고 PBS에 말했다.

코넬대의 케이트 브론펜브레너 교수는 “열정적으로 노조에 반대하는 (스타벅스 같은 기업의) 고용주들에게 이런 상원 청문회의 위협은 아무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그들의 마음을 바꾸려면 기업의 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연방 정부가 벌금을 부과하는 것 이상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 김유진 특파원 yj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