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서 18세로 전사한 국군 신원···허창식 하사로 밝혀져

박은경 기자 2023. 3. 30. 13: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1 카빈총 실탄과 철모 등 유품도 함께
친형 허창호 하사도 6·25전쟁 전사자
고 허창식 하사의 유품. 사진 국방부

6·25전쟁 당시 설악산 부근 전투에 참전했다가 친형의 뒤를 이어 전사한 군인의 신원이 확인됐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11년 5월 강원도 인제군 저항령 일대에서 발굴한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고 허창식 하사(현 계급 상병)로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허 하사는 1933년 4월 20일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에서 3남 1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이어가다 1950년 9월 제주도 훈련소를 거쳐 국군 11사단 소속으로 1951년 5월 7~13일 벌어진 ‘설악산 부근 전투’에 참전했다가 5월 11일 만 18세 나이로 산화했다.

설악산 부근 전투는 11사단이 동해안으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북한군 6사단과 벌였던 전투다.

허 하사가 발굴된 저항령은 해발 1100m 이상 험난한 산악지역으로 전사(戰史)에서도 당시 탄약·식량 보급에 제한이 많았다는 기록이 나온다. 유해 발굴 과정에서도 어려움이 컸다고 국유단을 밝혔다.

허 하사 유해는 국유단과 육군 12사단 장병들이 암석 지대인 저항령 정상에서 넙다리뼈를 식별하면서 발굴했다. 이후 바위를 치워가며 주변을 탐색한 결과 바위 틈새에 산발적으로 분포한 발가락뼈, 발목뼈 등이 추가로 나왔다.

유해의 일부 골격에서는 불에 노출돼 수축·손상된 흔적이 확인됐고 M1 카빈총 실탄과 철모 등 유품도 함께 발견됐다.

허 하사의 친형 허창호 하사(현 계급 상병) 역시 6·25전쟁 전사자로 밝혀졌다.

친형은 동생과 같은 11사단 소속으로 전북 순창지구에서 참전 중이던 1951년 1월 30일 동생보다 먼저 전사했다.

확인된 전사자 신원을 유족에게 알리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이날 서귀포시 유가족 자택에서 열린다.

허 하사의 남동생 허창화(87)씨는 형의 신원 확인 소식에 “죽기 전에 유해를 찾아서 정말 다행”이라며 “형님을 찾기 위해 고생한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