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기획 창] ‘N수’가 필수가 된 시대…요즘 수능은 대체 왜?
■그들은 왜 ‘N 수’ 하는가
지난달 20일, 재수 정규반 개강일. 서울 시내 주요 입시학원은 검은 점퍼와 운동화 차림의 수험생들로 북적였다. 올 한해 재도전을 결심한 학생들이 몰려든 것이다. 오리엔테이션의 열기는 뜨거웠다. "내년 이맘때쯤에는 다시 웃을 수 있어요. 단, 힘드셔야 해요."
수험생들은 말한다. “양치기(되도록 많은 양의 문제를 풀어본다는 뜻)하면 느는 것 같아요.” 입시학원 관계자도 말한다. “학원의 역할은 빠르게 속도를 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결과가 말한다. 2020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4년 동안 전국 의대 정시모집 합격자 중 N수생이 77.5%를 차지했다. (민주당 강득구 의원실/국회 교육위원회) 시간을 들여 많이 풀면 수능 점수는 오른다. N 수가 필수가 되어 버린 셈이다.
■삼촌·이모는 이해 못 하는 ‘요즘 수능’
90년대에 수능 시험을 치렀던 삼촌, 이모에게 물어보자. 이런 대답이 나올지도 모른다. “수능은 머리 좋은 애들이 잘 보는 시험 아니니? 약간 IQ 테스트 같기도 하고, 외워도 소용없고…. 우리 땐 그랬는데.” 그때와 지금 수험생들은 왜 달리 느끼는 걸까? 혹시 수능 문제가 변한 건 아닐까?
■시사기획 창의 무모한 도전…30년 수능 기출 전수 분석
시사기획 창이 이 의문을 과학적 분석으로 풀어봤다. 어떻게? 30년 어치의 모든 수능 기출문제를 전부, 일일이 훑어보는 방식으로. 문제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10개 안팎의 기준을 마련한 뒤 그 기준에 따라 모든 문제에 값을 매겼다. 그리고 인공지능이 그 결과를 3차원 공간에 뿌렸더니…
■수능이 어떻게 변하니?
무엇을 상상하든, 결과는 그 이상이다. 수능은 30년 전 그 수능이 아니고, 그래서 수험생들이 갖춰야 할 자질이나 공부하는 방향도 30년 전과 크게 달라졌다. 이제는 고교 교육과정도,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도 30년 전의 그것이 아니다. 챗 GPT 시대, 우리에게 수능은 무엇이며 어때야 할까. 수험생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3월 28일 KBS 1TV에서 방송되는 시사기획 창 ‘30살 수능, 길을 잃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사기획창 #수능 #N수 #재수 #수험생 #공부로그 #수능의비밀 #불수능 #킬러문항
취재기자 : 박예원
촬영기자 : 김태석
영상편집 : 송화인
자료조사 : 김나영
조연출 : 이정윤 / 진의선
방송일시 : 2023년 3월 28일(화) 밤 10시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program.kbs.co.kr/1tv/news/sisachang/pc/index.html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박예원 기자 (air@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방일 당시 ‘오염수 방류 국민 이해 구하겠다’ 말해”
- “한국·미국, 권도형 인도 청구”…구금 연장 항고는 ‘기각’
- 한상혁 방통위원장 영장 기각…“주요 혐의에 다툼 여지”
- [단독] “신현성 자택 추징”…테라 사건 국내 재산 보전 첫 확인
- 일본에서 돌아온 대동여지도…“목판본 한계 보완한 첫 사례”
-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 19억 4,625만 원…재산 1위는?
- “판·검사 로비해 줄게”…수천만 원 받아 쓴 사기범 ‘구속’
- ‘다자녀 무상 우유 중단’ 분노 확산…반발 부추기는 농식품부
- “저는 남대문김입니다”…AA모임의 정체는?
- 러 “美에 핵 관련 모든 정보 제공 중단”…미국에 맞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