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이용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효율 20배로 높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현주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높은 효율로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과 미생물 기반 바이오 전환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전기화학 전환반응이 일어나는 전해조에서 이산화탄소가 탄소 1개로 이뤄진 포름산으로 전환되면 이 포름산을 미생물 배양이 이뤄지는 발효조에 공급해, 커프리아비더스 네케이터(Cupriavidus necator)라는 미생물이 섭취한 뒤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도록 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술의 효율을 국내 연구진이 20배로 높였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현주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높은 효율로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과 미생물 기반 바이오 전환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전기화학 전환반응이 일어나는 전해조에서 이산화탄소가 탄소 1개로 이뤄진 포름산으로 전환되면 이 포름산을 미생물 배양이 이뤄지는 발효조에 공급해, 커프리아비더스 네케이터(Cupriavidus necator)라는 미생물이 섭취한 뒤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도록 했습니다.
이 같은 하이브리드 개념은 전기화학반응의 낮은 효율과 미생물 배양 조건 차이 등 문제로 생산성이 매우 낮거나 비연속적 공정에 그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전해액인 동시에 미생물 배양 배지로 이용할 수 있는 '생리적 호환이 가능한 양극 전해액'을 개발하고,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기체 확산 전극을 사용해 높은 생산성으로 포름산이 만들어지게 했습니다.
이어 개발한 전해액에 포름산을 포함시켜 발효조로 공급해 미생물 배양에 쓰이게 하고, 전해액만 다시 필터를 통과해 전해조로 순환되도록 했습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연구팀은 4㎠ 전극에서 1.38 g의 바이오 플라스틱(PHB)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그램 수준 생산이며, 기존 연구성과보다 생산성이 20배 이상 높은 것입니다.
이현주 교수는 "바이오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학물질 생산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앞으로 탄소 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지난 27일 온라인 게재됐습니다.
(사진=KAIST 제공,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제정신 잘 박혀 있다”…유아인 응원한 김송, 비판한 네티즌과 설전
- BTS 정국이 탔던 벤츠, 경매 4개월 만에 중고 매물로…가치는 얼마?
- 여성 손님에게 건넨 수상한 술…'미슐랭' 요리사의 실체
- “산책 가자!” 강아지 산책 시키는 강아지 '환상의 짝꿍'
- “방울토마토 먹고 토했어요” “저도요”…피해 속출, 왜?
- 마트 '저녁 할인' 1시간 더 빨라진다…소비자 “대환영”
- “풍덩” 끌어내 폭행 찍으며 낄낄…중국판 '더 글로리'
- “살려달라”는 이민자 모른 척…뻘건 불길에도 철문 잠갔다
- “'쾅' 소리에 지진 난 줄”…원룸 덮친 37m 중장비
- 망치질에 강화유리도 '와장창'…“금 녹여 팔면 어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