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원의 투자전략] "바닥은 기회" 반도체주, 지금 담아야하는 이유?

김경화 기자 2023. 3. 30. 09:2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유동원의 투자전략' - 유동원 유안타글로벌자산배분본부장

◇ 본부장님, 간밤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볼까요?

- 뉴욕증시, 투심 회복에 랠리…진단은?
- 다우 1.00%·S&P500 1.42%·나스닥 1.79%↑
- 은행 위기 일단락, 반도체도 바닥 찍었다
- S&P500, 심리적으로 중요한 4000선을 회복
- 나스닥, 1만 2,000선 회복을 눈앞에 둬
- 뉴욕증시, 기술주·반도체주 강세에 일제히 상승 마감
- 마이크론, 7.19% 폭등한 63.54달러 
- 엔비디아, 2.17% 뛴 269.84달러
- AMD, 1.62% 상승한 96.09달러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27% 급등
- 10년물 국채금리, 전날과 비슷한 3.56% 
- 2년물 국채금리, 2bp가량 상승한 4.09%
- 애플, 1.98% 뛴 160.77달러 
- MS, 1.92% 상승한 280.51달러
- 애플, 6월 5~9일 ‘세계개발자대회 2023’ 개최 예정
- 테슬라, 2.48% 상승한 193.88달러
- 리비안, 상승 반전 9.88% 폭등한 14.24달러
- 2월 PCE 가격 지수, 4분기 GDP 확정치 등 주목
- PCE 물가지수, 전년 대비 4.7% 전월 대비 0.4% 상승 예상
- WTI, 0.31% 하락한 배럴당 72.97달러
- 달러인덱스, 0.23% 오른 102.67 수준
- 은행권 불안에 하락하던 달러 가치, 사태 진정에 '반등'
- 유로 가치는 '소폭 하락', 파운드 가치도 떨어져
- 전문가 "시장의 관심은 다시 연준 긴축으로 돌아설 수도"
- 日 회계연도 말 근접, 엔화환율은 변동성 속 '껑충'
- 일본 여행 싸게 가려다 깜짝…"엔화 몸값 더 뛴다"

◇ 국내 증시 얘기도 여쭤볼게요. 은행주 우려는 완전히 떨쳐버린 모습입니다. 잘 달리고 있거든요. 본부장님께선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 국내증시 최근 흐름, 평가와 전망은?
- 기관이 밀어 올린 코스피, 2,440선 마감
- 코스닥, 나흘 연속 '상승' 이어가
- 코스피 8.98포인트(0.37%) 오른 2,443.92 마감
- 코스닥, 돌아온 외인에 1.25%↑…840선 탈환
- LB인베스트먼트, 코스닥 상장 첫날 상한가
- 진에어, 분기 사상최대 실적 기대감에 강세
- 하나마이크론, 삼성전자의 설비 투자 기대감에 급등
- 원·달러 환율 3.9원 오른 1,302.7원 마감

◇ 은행 리스크 해소 국면…시장 진단은?

- 미국증시, 변동성 속에서 상승 성공
- 다우 1.2%, S&P500 1.4%, 나스닥 1.66% 상승
- 중소은행들 주가 급락, 러셀2000 중소형주 0.3% 상승
- SVB 사태로 불안감 가중…美 중소은행서 2주간 716조원 빠져
- 미국에 이어 유럽도 금융 불안 확산
- 국내에선 美 은행주 '쓸어담기'…"투자 유의해야"

◇ ‘냉탕’과 ‘온탕’ 사이…금융위기 가능성은?

- 장단기 금리 역전, 예금의 급격한 하락
- 장단기 금리 역전이 급격히 벌어졌다가 좁혀져
- 미국 은행권의 대출 증가율, SVB 파산 이후 27.2% 급등
- 총여신 증가율, 연간 환산 21.8%로 급등
- 은행 파산 사태가 체계적 붕괴와 연결되지 않을 것을 의미
- 2023년 경제 성장률, 안정적 모습 예상

◇ 엇갈린 금리 전망…어디에 베팅해야?

- 채권시장 "연내 인하" vs 블랙록·골드만 "인상“
- 골드만 "은행권 위기, 허리케인 아닌 역풍…금리인하 없다“
- 뉴욕 월가, 美 연준 연내 금리 인하 베팅은 위험
- 제러미 시겔 "시장, 연준 금리 인하에 놀라지 말아야"

◇ 위기를 기회로…지금이 오히려 투자 기회?

- 총여신·총예금 비율 100.7%, 예대율 69.5% 상승
- 코로나 이전 고점 수준인 106.3%, 77.1%와 괴리 여전
- 예금 감소에도 대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
- 인플레이션 장기화·펀더멘털 악화·거품 현상 확률 상승
- 인플레이션 하락 구간, 큰 폭의 주식 상승 구간 나타나

◇ 갈피 잡기 힘든 인플레이션, 시장 예상 시나리오는?

- 미국 물가 잡기, 금융안정 동시 추구
- 과거 인플레 상승 시기, '낙타 등' 모습을 보인 경우
- 첫 인플레 급등 이후 하락 구간 및 안정적 인플레이션 구간
- 1942~1946년, 118% 급등…1951~1956년, 123% 급등
- 1970~1973, 73.5% 급등…1974~1977년, 73% 급등
- 인플레이션 재상승 구간에 급락장 보여
- 현 상황은 첫 인플레이션 급등 이후 하락 구간
- 2024년 초까지 인플레이션 앞자리 3%대로 지속 하락 예상

◇ 0.1%포인트의 경고…"美 연준, 올해 경기 침체 예상"?

- 골드만 "연준 생각보다 경제 강해…최종금리 5.25~5.5%"
- 美 연준의 예상 경제성장률, 올해 0.4%
- 경제성장률 2024년 1.2%, 2025년 1.9% 전망
- 美 연준의 예상 인플레이션 올해 3.3%
- 인플레이션 2024년 2.6%, 2025년 2.1%
- 美 증시, 지속해서 2025년 말까지 상승 기조

◇ 경기침체 장기화 vs 시장 회복 기대감, 전망은?

- 인플레이션이 2024년 하반기부터 재상승 가능성
- 美 증시는 2024년 하반기에 다시 급락장이 나타날 것 예상
- 지금 나타나고 있는 생산성 향상 추세 가속화 여부 중요
- 인플레이션을 낮춰주는 업종에 대한 투자가 가장 중요

◇ 인플레이션을 낮춰주는 업종…투자전략은?

- AI 가속화와 자동화에 기여하는 업종
- 반도체 및 여러 IT 업종 주목 
- 전기차와 부품, 내연기관 자동차의 비중 급락 주도
- 전력 생산 효율화 확대 업종,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 바이오와 헬스케어 업종, 인간의 수명 장기화

◇ 불확실한 시장, 포트폴리오 전략은?

- 성장주 투자 비중 80%, 가치주 투자 비중 20% 전략
- 신흥국 투자 비중 33%, 선진국 투자 비중 67% 전략 
- 선진국 투자, 나스닥100 위주의 투자에 초점 
- 신흥국 투자, 한국·대만·베트남·중국 위주 투자
- 제조 강대국 및 인플레이션 하락 주도 신흥국에 초점

◇ 2차전지·태양광주 주목…대응 전략은?

- 美 IRA 세부 규정 발표 임박…관련주 더 오를까?
- 2차전지 소재·셀 주춤하니…꿈틀하는 장비 株
- “많이 올랐지만 국내 2차전지가 제일 유망”
- 풍력·태양광 발전설비 등 B2B 업종 유망

◇ ‘특징주’ 분석, 눈에 띄는 종목과 이유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