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EN:]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내달 4일 평창동에 개관

CBS노컷뉴스 문수경 기자 2023. 3. 29. 22: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신규 분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이하 미술아카이브)를 4월 4일 개관한다.

미술아카이브는 현대미술의 중요 자료를 수집·보존·연구·전시하는 아카이브 전문 미술관으로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문을 연다.

모음동은 미술아카이브의 보존·연구· 전시를 위한 공간이다.

서울시와 서울시립미술관은 미술아카이브 개관을 준비하면서 2017년부터 22개 컬렉션, 5만 7천여 건의 아카이브를 수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핵심요약
국내 최초 국공립 아카이브 전문 미술관
ⓒ Kim YongKwan
서울시립미술관은 신규 분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이하 미술아카이브)를 4월 4일 개관한다. 미술아카이브는 현대미술의 중요 자료를 수집·보존·연구·전시하는 아카이브 전문 미술관으로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문을 연다. 민간 차원이 아닌 국공립 아카이브 전문 미술관은 미술아카이브가 최초다.

2019년 9월 착공한 미술아카이브는 총 공사비 267억 원을 투입해 대지면적 7300㎡, 연면적 5590㎡(1691평) 규모로 건립했다. 주요 기능에 따라 △모음동 △배움동 △나눔동 3개 동을 갖춘 미술관으로 조성됐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건축사사무소 아크바디가 설계했다.

모음동은 미술아카이브의 보존·연구· 전시를 위한 공간이다. 책과 함께 휴식하는 공간인 레퍼런스 라이브러리와 전시실, 예술기록을 열람하는 리서치랩, 보존서고 등이 있다. 레퍼런스 라이브러리에서는 전시도록, 아티스트북 등 미술도서 4500여 권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고,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는 리서치랩에서는 2만 건의 원본(실물) 열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SeMA-프로젝트 A' 정현, 무제, 2018, ⓒ LEE SEUNG YUL

배움동은 교육 프로그램과 배움 활동이 이뤄지는 모두의 교실이 자리해 있고 나눔동에는 카페와 다목적홀이 있다. 미술관 소장품과 자연 경관이 어우러지는 옥상정원은 포토존으로 불릴 만하다.

서울시와 서울시립미술관은 미술아카이브 개관을 준비하면서 2017년부터 22개 컬렉션, 5만 7천여 건의 아카이브를 수집했다.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작가노트, 드로잉, 육필원고, 일기, 서신, 메모, 사진, 필름, 소장도서 등을 총망라한다. 창작자뿐만 아니라 미술사가, 비평가, 전시기획자 등 매개자의 아카이브를 중점적으로 수집한 점도 눈에 띈다. 수집한 아카이브는 2021년 12월부터 디지털미술아카이브에서 공개하고 있다.  

미술아카이브는 개관 전시로 '명랑 학문, 유쾌한 지식, 즐거운 앎'을 선보인다. 비평, 연구, 번역, 교육 등 미술의 매개활동에 평생 헌신한 최민(1944~2018) 컬렉션 연구를 통해 미술 매개활동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환기하는 전시다.

창작자의 1차 자료를 살펴보는 '아카이브 하이라이트: 김용익, 김차섭, 임동식', 옥상정원과 유휴공간을 활용한 'SeMA-프로젝트 A', 아카이브를 매개로 한 교육·공공·연구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문수경 기자 moon034@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