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하기] 고물가에 ‘착한가격업소’도 휘청

KBS 지역국 2023. 3. 29. 20: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 김현수입니다.

'착한가격업소', 가격이 저렴하지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죠.

정부가 지난 2011년부터 지정하고 있는데요.

이 착한가격업소를 통해 전반적인 물가를 안정시키고 또,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서민들에게 도움을 준다는 취집니다.

하지만 최근 이어지는 고물가와 경제 침체의 여파, 착한가격업소도 비켜 가지 못했습니다.

대전의 한 착한가격업소인데요.

1,500원 짜장면으로 유명한 중식집입니다.

짜장면뿐만 아니라 탕수육도 4천 원으로 저렴했는데요.

오랫동안 이 가격을 유지했지만, 고물가 여파에 지난해에는 짜장면 가격을 2천 원으로 올렸고요.

최근에는 3천 원으로, 탕수육은 6천 원으로 올렸습니다.

실제로 재룟값은 얼마나 올랐을까요?

짜장면의 주요 재료만 놓고 봤을 때, 1년 전보다 밀가루가 15.5%, 춘장 8.8%, 식용유 22%, 양파는 무려 3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또, 물가 상승에도 수년째 찌개류와 백반 가격을 5천 원으로 유지하는 착한가격업소도 있는데요.

모두 착한가격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습니다.

[식당 주인/착한가격업소 : "재료비가 너무 많이 올라서 아무래도 힘들죠. 사람 안 쓰고 둘이 하니까 그나마 저희 체력으로 (버티는) 거죠. (저렴한 가격으로) 계속 가려고 생각 중인데 사람 마음이 잘 모르잖아요."]

[식당 주인/착한가격업소 : "저 혼자 하고 우리 딸이 도와주고, 내가 직접 가서 (재료를) 씻고 오고, 사고 그래요. 공산품이고 뭐고 다 안 시켜요. 손님들이 찾아올 때마다 웃고 잘 먹었다 하고 그 힘으로 살아요, 저는."]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대전의 착한가격업소, 345곳이었는데요.

지난달 말엔 340곳으로 석 달 사이 5곳이 사라졌습니다.

폐업한 곳도 있었고요.

더 이상 가격을 유지하기 어려워 착한가격업소를 포기한 곳도 있었는데요.

자치구별 집계 결과는 조금 차이가 있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였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지자체마다 착한가격업소 관련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지자체는 자체 예산을 더해 여러 지원 사업을 하게 되는데요.

올해는 전국 착한가격업소에 국비와 지방비를 더해 52억 원을 지원합니다.

대전시의 경우 홍보물 제작 정도를 지원하고 있다고 하고요.

자치구 별로는 차이가 있지만, 유성구에서는 지난겨울 난방비 30만 원을 지원했고요.

서구에서는 종량제 봉투와 지역화폐 사용 시 무제한 3% 환급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지원 규모를 더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황선구/한국외식업중앙회 대전시지회 총무부장 : "(다른 지자체는) 상수도 요금이라든가 이런 걸 지원을 좀 해 주는 게 있는데, 대전시에서도 (이와 함께) 가게 운영에 필요한 물품이라든가 이런 거를 지원해 주면 (착한가격업소) 유지가 어느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대전시 입장도 제가 직접 들어봤는데요.

올해 착한가격업소에 필요한 물품 지원과 함께 매장 시설 개선 사업, 그리고 지역화폐 사용 시 5% 적립 혜택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힘들지만, 찾아주는 손님들이 있어서, 착한가격업소라는 책임감 때문에, 가격을 올리지 못한다"는 업주들.

이들이 짊어지고 있는 짐에는 우리 사회 취약 계층과 서민들의 몫도 있을 텐데요.

불경기에 더 무거워진 착한가격업소들의 짐, 정부와 지자체, 우리 사회 구성원이 조금씩 나눠 질 방법은 없을까요?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KBS 지역국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