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외투기업 "투자 활성화 위해 노동 규제 시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한 외투기업이 우리나라 규제 중 가장 개선이 시급한 영역으로 노동 부문을 꼽았다.
이번 조사에서 과반수에 달하는 주한 외투기업은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해 다른 국가에 비해 개선이 필요한 한국의 규제 분야로 '노동 규제'(48.8%)를 지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한 외투기업이 우리나라 규제 중 가장 개선이 시급한 영역으로 노동 부문을 꼽았다. 신규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노동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50인 이상 201개 주한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주한 외투기업 규제 인식 및 투자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른 국가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한국의 규제 분야로 노동 규제가 가장 높게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과반수에 달하는 주한 외투기업은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해 다른 국가에 비해 개선이 필요한 한국의 규제 분야로 '노동 규제'(48.8%)를 지목했다. 그 다음으로 '지배구조 규제'(23.9%), '인허가건축 규제'(23.4%), '안전보건 규제'(21.9%)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법원이 외투기업 전 최고경영자(CEO)에게 불법파견 유죄판결(징역형)을 내린 것에 대해 '외투기업 투자시 한국 특유의 리스크가 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38.8%)는 의견이 가장 높게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 '한국내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져 기존 외투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음'(30.8%), '외투기업 본사 임원이 한국에 부임하는 것을 더욱 꺼리게 될 것'(25.9%), '신규 외투기업의 한국 진출을 저해할 것'(20.4%) 순으로 집계됐다.
본사 소재 외국 대비 한국의 전반적인 규제 수준에 대해서 주한 외투기업 3곳 중 1곳(33.8%)은 '한국의 규제 수준이 외국보다 높다'고 평가했다. 그 밖에 응답 기업의 57.7%는 한국과 외국의 규제 수준이 '비슷하다'고 답했으며, '한국의 규제 수준이 외국보다 낮다'고 응답한 기업은 8.5%로 나타났다.
올해 주한 외투기업의 신규 투자 계획은 '없음'(40.3%)이 가장 높았다. 아직 투자 계획을 세우지 못해 '미정'인 기업도 33.8%에 달했다. 반면 신규 투자 계획이 있는 기업은 25.9%에 불과했다.
외투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복수응답)로 '과도한 기업 규제의 획기적인 개선'(37.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법인세 인하'(32.3%),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확대'(26.9%), '노동시장 개혁'(25.4%) 순으로 분석됐다.
류기정 경총 전무는 “대내외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타국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규제 분야로 노동 규제가 지목된 만큼 글로벌 스탠다드보다 과도한 규제를 조속히 개선하여 외투기업이 체감하는 규제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 ”고 말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 박종욱 직무대행체제 전환… 비상경영 가동
- 애플 '탭투페이' 결제 시대 열리나
- 세계 첫 OLED TV 만든 日 몰락
- "기아 EV9,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車"…연 10만대 생산 목표
-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원전 생태계 '완전 정상화'
- 롯데쇼핑·이마트 주총 화두는 '수익성'…투자 줄이고 비용 절감
- [과학]생명연, 31개 연구원 창업기업 설립하고 81개 기업 지원…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
- REC, 4년 만에 7만원대 돌파…태양광 '초호황'
-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美 패키징 공장 계획대로 추진…장비 유예 최대한 연장"
- 우주항공청 설립 국회 문턱 넘을까…연내 개청 난항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