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재개발 분양 12만6000가구 쏟아진다···수도권 가장 많아[집슐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재개발 분양을 앞둔 사업지가 아파트값이 급등하던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수도권과 부산 등 대도시의 주요 도심이 노후화되면서 저층 주거지에 대한 재개발 사업이 늘어난 영향이다.
이처럼 정비사업 물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저층 주거지에 대한 재개발 사업(71개 단지, 9만449가구 분양 예정)이 늘어난 덕분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도시 도심노후화로 저층 재개발↑
이문아이파크자이·래미안라그란데 등
올해 재개발 분양을 앞둔 사업지가 아파트값이 급등하던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수도권과 부산 등 대도시의 주요 도심이 노후화되면서 저층 주거지에 대한 재개발 사업이 늘어난 영향이다.
2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한 분양물량은 122개 단지서 총 12만6053가구로 2019년(101개 단지 10만1794가구)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물량이 쏟아질 전망이다.
이처럼 정비사업 물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저층 주거지에 대한 재개발 사업(71개 단지, 9만449가구 분양 예정)이 늘어난 덕분이다. 현재 정부가 도심 정비사업에 대한 제도 개선과 고층개발을 허용하는 추세인 만큼 공급 확대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재개발 사업지들을 중심으로 정비사업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전체 24개 단지에서 총 3만4732가구가 공급돼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산성구역주택재개발(3372가구) △광명시 광명동 광명자이더샵포레나(3585가구) △광명시 광명동 베르몬트로광명(3344가구) △구리시 수택동 e편한세상수택현장(3050가구) 등 3000가구 규모 이상의 대단지가 많다.
서울에서는 전체 16개 단지에서 총 1만6356가구가 나온다.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이문아이파크자이(4321가구) △래미안라그란데(3069가구) 등이 대단지다. 부산에서는 남구 대연동에 위치한 디아이엘(4488가구)의 단지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현재 서울에서 분양되는 아파트의 80~90%가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유휴 토지가 부족한 도심 지역들은 정비사업을 통한 공급량 비중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건설사 입장에서도 수도권과 부산 등 기반시설이 양호한 도심 핵심지의 사업 추진 리스크가 적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재개발 사업은 저층 주거지가 많아 지자체가 요구하는 양적인 주택공급 효과가 크다"며 "건설사들도 고밀화가 가능한 재개발 사업에 대한 선별 수주를 통해 시장 침체기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민경 기자 mkkim@sedaily.com<©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플래그십 전기차' 맞네…기아 EV9 '특별한 기능' 살펴보니 [biz-플러스]
- '방울토마토 먹은 뒤 토했다'…피해사례 잇따라, 무슨 일이
- 최애 간식 '당근' 거부하는 세로, 삐졌다? 수의사 전한 '진짜 속마음'
- '韓 국회의원 연봉 세계 최고 수준, '셀프인상' 멈춰라'…얼마길래?
- 누드 바디프로필 찍는다는 여친, 고민입니다…남친의 속앓이 사연은?
- 1초에 1병씩 팔렸다…'스트레스' 직장인 사로잡은 음료
- '귀신 씌였나…홈쇼핑 모욕' 정윤정 '욕설 방송' 법정제재 위기
- '변호사 접고 성인방송…돈 더 번다' 고백한 이란女
- 삼성 향한 중국의 경고? 회담, 기념촬영에서 뒷줄로 밀려나
- 김구라 月 440만 원 낸다는 건보…작년 3조 6000억 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