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현진의 돈과 세상] [116] JP 모건의 형님 역할
어떤 사업에서 경쟁 상대가 사라지는 것은 희소식이다. 그러나 은행은 예외다. 한 은행이 파산하면 불안감을 증폭시켜 자칫 다른 은행까지 위험해진다. 그래서 은행들은 파산에 직면한 동업자를 발 벗고 돕는다.
은행이 운명 공동체라는 생각은 ‘은행(銀行)’이라는 말에 녹아있다. 은본위제도 때 ‘은행’은 집합명사였다. ‘은을 취급하는 업자 일행’이라는 뜻이다. 그 일행은 매일 어음교환소에 모여 어음과 수표를 교환했다. 하나라도 빠지면 안 되는 그 혼연일체의 공동 작업에서는 이름이 중요치 않다. 설립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가 곧 이름이었다. 어떤 동네가 그 우편번호로 불리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19세기 말 부산항에는 일본에서 온 제1, 제18, 제51 은행이 있었고, 지금도 미국에는 제5 은행과 제3 은행을 합친 제5/3 은행이 있다.
훌륭한 은행가는 은행이 운명 공동체임을 직감한다. 1907년 10월 맨해튼에서 세 번째인 니커보커 신탁회사가 파산하자 멀쩡한 은행까지 예금 인출 사태에 휘말렸다. 그 순간 JP 모건이 맨해튼의 은행장들을 자기 사무실로 불렀다. 방문을 밖으로 잠근 채 밤새 어르고 달래서 ‘긴급 유동성 기금’을 모았다. 그렇게 갹출한 3500만달러가 연쇄 부도 사태를 막았다.
1988년 텍사스주에서 가장 큰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이 예금 인출 사태에 몰렸다. 이번에는 방문을 잠그는 사람이 없었다. 그 은행이 파산 지경에 이르러서야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10억달러를 투입해서 정상화했다.
공교롭게도 똑같은 이름의 은행이 며칠 전 예금 인출 사태를 맞았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그 은행을 돕기 위해서 맨해튼의 JP 모건 체이스 은행이 전국의 11개 동업자를 불러 300억달러를 거뒀다. 은행이 흔들릴 때는 동업자끼리 돕는 게 급선무다. 그래야 예금 인출 사태 확산을 막고, 비용도 줄인다. JP 모건이 시범을 보였고, 그 후예가 그것을 재연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양양서 낙뢰로 1명 심정지·5명 부상… 포천선 1㎝ 우박 쏟아져
- 3년 전 펜션 예약, 이제야 오겠다는 손님 ”물가오른 걸 왜 내?“
- 與 “선관위, 전원사퇴 및 전면감사 수용해야” 野 “국민 질책 받아들인 것”
- 러, 우크라 항구도시 오데사 드론 폭격...민간인 3명 사망
- 경사노위 참여중단 한국노총, 주말 오후 여의도 일대서 집회
- 유희열, 32억 들여 안테나 2대 주주 복귀
- 러 “우크라 기갑여단 격퇴”… 美·獨 전차 파괴 영상 올렸다
- 김기현 “우리나라 침략한 중국 대사에 굽신거리는 민주당 모습에 화 치민다”
- 애플·구글 때리는 日...앱 장터 독점 규제안 마련
- 오타니, 비거리 134m 대포…AL 홈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