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련 “홍콩과 서울, 아시아 미술 이끌 쌍두마차 될 것”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3. 3. 28. 19: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콩 M+미술관 정도련 부관장
아트바젤 홍콩 전야 2천명 초청
구사마 이후 IM페이 등 조명
“새로운 형식 미술관 구현할 것”
미디어 파사드의 불을 밝힌 M+ 미술관 전경 [Herzog&de Meuron]
홍콩 서주룽문화지구의 현대미술관 M+미술관은 홍콩의 새로운 ‘얼굴’이다. 스위스 건축거장 헤르초크&드뫼롱이 설계한 랜드마크로 홍콩섬의 마천루가 한 눈에 들어오는 조망을 자랑한다. 3월 ‘아트 위크’ 기간 밤에는 피필로티 리스트의 영상작업을 110m 높이 미디어 파사드에서 상영해 어둠을 밝히고 있다.

지난 20일 개관 이후 최대 규모의 파티를 열었다. 4년만에 ‘완전체’로 돌아온 ‘아트바젤 홍콩’을 찾은 전세계 미술계 큰손과 명사들 2000여명을 초대하는 전야제. 이서현 리움 운영위원장, 리처드 암스트롱 구겐하임 미술관장, 아트 딜러 제프리 다이치, 울리 지그 등 세계 미술계 명사가 모였다.

2021년 11월 개관 했지만, 홍콩의 엄격한 방역 조치로 해외 관객의 방문을 기대할 수 없었다. 1월말 방역 해제 후 1년이상 연기된 ‘집들이’를 성공적으로 마친 M+ 정도련 부관장(50)을 22일 만났다. 정 부관장은 “개관 이후 거의 홍콩 시민을 위한 미술관이 될 수 밖에 없었는데, 이제 세계를 위한 미술관으로 우리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이번 홍콩 아트 위크인 것 같다. 굉장히 감동적인 며칠이었다”고 말했다.

뉴욕 현대미술관(MOMA) 첫 한국인 큐레이터 출신으로 2013년 홍콩으로 건너와 개관까지 꼬박 10년을 매달린 미술관의 문을 연 감회는 남다를 것 같았다. 홍콩 정부는 홍콩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포부로 48만㎡를 매립해 30억 달러(3조9000억원)를 투자해 지구를 조성했다. 작품구입비만 약 2800억원을 투입했고, 울리 지그의 소장품 1463점도 기증받았다. 현재 소장품은 8000점을 넘어섰다.

정도련 [M+]
그는 “10년간 일하면서 홍콩시민들이 이 곳을 문화 불모지라 말하는 걸 들었다. 그런 말이 몇년전부터 사라졌다. 아트바젤 홍콩과 M+ 덕분이다. 서로가 협력, 강화하는 관계가 되면서 올해부터는 그 시너지가 더 높은 단계로 올라갈 것을 기대한다”라고 했다.

그가 지향하는 M+는 단지 아시아 최고 미술관이 아니라 ‘20·21세기 시각문화를 보여주는 새로운 형식의 미술관’이다. 그는 “M+라는 명칭도 ‘미술관 이상의 미술관’을 지향하며 지었다. 건축디자인 영상 시각미술이 각각 전시의 세 기둥이 될 것”이라 귀띔했다.

개관 1주년 기념으로 작년 11월 개막한 구사마 야요이 회고전에는 구름관중이 몰리고 있다. 그는 “생존 작가 중 최고인 그를 일본 이외의 아시아에선 제대로 전시한 적이 없는 것 같았다. 6개 주제를 통해 작가를 들여다보고, 호박 등 대표작을 줄이고 초·중기 작업을 깊이있게 보여주려했다”라고 설명했다.

블록버스터 전시는 올해 내내 이어진다. 최소 3년 이상 준비한다는 전시들은 모두 아시아를 중심 주제로 다룬다. 올해는 중국 패션계의 대모인 마당 송의 회고전, 작고한 루브르박물관 피라미드의 건축가 I M 페이 회고전도 열린다.

홍콩의 정치적 탄압으로 문화와 자본의 유출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그는 “중국 정부는 홍콩을 이제 금융중심지가 아닌 문화중심지로 발전시켜, 대륙과 세계를 연결하는 관문이 되도록 한다는 명확한 메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 성공 여부가 M+에 달려있다”라고 자신했다. 라이벌 서울의 등장도 환영했다. “팬데믹 상황에서 프리즈가 똑똑하게 서울에 진출했다. 그만큼 한국의 문화예술적 위상이 커진 것이다. 홍콩이 아니면 서울은 당연한 결정이다. 아시아는 워낙 크고 방대해 허브가 다양화되는건 고무적인 일이다.”

홍콩섬을 조망할 수 있는 M+ 미술관 전경 [사진 제공=M+, 홍콩]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