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형기준안 공청위, 개인 정보·교통·관세 범죄 논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인 정보 범죄에 벌금형 양형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8일 대법원 양형위원회(위원장 김영란)는 전날 정보통신망·개인 정보 범죄, 교통 범죄, 관세 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안 공청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양형위는 공청회 의견과 관계 기관 의견 조회, 행정 예고 등을 반영해 다음달 전체회의에서 정보통신망·개인 정보 범죄, 교통 범죄, 관세 범죄에 대한 양형 기준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 범죄에 벌금형 양형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8일 대법원 양형위원회(위원장 김영란)는 전날 정보통신망·개인 정보 범죄, 교통 범죄, 관세 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안 공청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개인 정보 보호법 위반 사건은 대부분 벌금형이 선고되는데 징역형 양형 기준만 설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벌금형 양형 기준도 만들어야 한다는 게 김병필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의 설명이다. 음주 운전을 강력 처벌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관세 범죄 양형 기준에서 관세 포탈 및 무신고 수입 등 유형에서 통고 처분 대상의 형평성을 고려해 권고 형량 범위를 일부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양형위는 공청회 의견과 관계 기관 의견 조회, 행정 예고 등을 반영해 다음달 전체회의에서 정보통신망·개인 정보 범죄, 교통 범죄, 관세 범죄에 대한 양형 기준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임원은 7만원, 대리는 3만원”...프랭크버거, 대표 회갑연 강제수금 논란
- [2차전지 대해부] 노다지로 떠오른 폐배터리 재활용
- 치솟는 구글 점유율에 흔들리는 네이버·카카오
- "우린 서울시 제물인가" 참고 참다 결국 폭발한 주민들
- 민주당 혁신위원장 이래경 “자폭된 천안함” “코로나 진원지는 미국” 과거 발언 논란
- 文 “경제학 전문가에만 맡기면 지배 이데올로기에 휘둘리게 돼”
- 美 첼시마켓 꿈꾸던 롯데웰푸드 영등포 공장 개발안...1년째 감감무소식
- 현대차 車엔진 전문가, 우주로켓 스타트업으로 간 이유
- 美 줄리아드 출신 바이올리니스트, 단백질바로 연매출 170억… 오리온 제쳐
- 韓은 호재… 中주식 계속 사던 외국인들 움직임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