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의지 문제 아냐… 전문 치료 필요” [심층기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깥에서 환자를 마주쳐도 절대 먼저 아는 척하지 않아요. 환자가 곤란해할까 봐요. 내과 의사였다면 안 그래도 됐을 거예요."
전 교수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양날의 검"이라고 지적하며 "당장 진료 접근성은 높일 수 있겠지만, 정신과 치료를 지속하려면 결국 의사가 환자에게 F코드(정신과 질환)를 부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회적 편견이 여전한 상황에서 "환자에게 정신질환이 있음을 인식시키고 설득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셈"이라는 설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음의 감기 비유, 편견 부추길 수도
119 신고처럼 콜센터 접근성 높여야”
“바깥에서 환자를 마주쳐도 절대 먼저 아는 척하지 않아요. 환자가 곤란해할까 봐요. 내과 의사였다면 안 그래도 됐을 거예요.”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 못지않게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전 교수는 설명했다. 장벽을 낮추겠다고 정신병을 ‘마음의 감기’로 비유하는 식에 대한 우려다. 전 교수는 이런 접근이 오히려 편견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감기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질환으로 여겨지는 만큼 정신질환이 마치 “마음을 고쳐먹으면 해결할 수 있는 ‘의지의 문제’처럼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감기로 비유하기보다는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전문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전 교수는 강조했다.
보건복지부가 2012년 발표한 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에서 정신과 진료 진단서나 처방전에 ‘보건일반상담’을 의미하는 Z코드를 적을 수 있게 허용한 것과 관련해서도 전 교수는 아쉬움을 표했다. 전 교수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양날의 검”이라고 지적하며 “당장 진료 접근성은 높일 수 있겠지만, 정신과 치료를 지속하려면 결국 의사가 환자에게 F코드(정신과 질환)를 부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회적 편견이 여전한 상황에서 “환자에게 정신질환이 있음을 인식시키고 설득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셈”이라는 설명이다.
정신과 접근성도 아직 더 높여야 한다. 전 교수는 “정신과 상담 관련 콜센터가 2개나 있어도 아는 사람이 없고, 이곳을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불나면 119에 신고하는 것이 바로 떠오르는 것처럼 정신과 진료 하면 생각하는 서비스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교수는 외과 등 다른 과 진료로 병원에 왔더라도 극단적 선택 징후가 강한 경우 정신과 치료로 연계하는 시스템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그는 “대학병원이다 보니 한 달에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환자가 30명 가까이 온다”며 “도와주고 싶어도 도와줄 수 없을 때 무기력하기도 하다”고 씁쓸해했다.
윤준호 기자 sherp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