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세계 첫 ‘양자암호통신장비’ 보안 검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정보원이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장비의 국가·공공기관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검증제도를 운영한다.
국정원 관계자는 "보안 기능 검증제도로 양자암호통신 장비가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됐다"면서 "안전성이 입증된 양자암호통신 장비가 국가·공공기관으로 확산돼 국가 주요 네트워크의 안전장치가 한층 더 강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2개 기준… 새달 3일부터 시행
국가정보원이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장비의 국가·공공기관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검증제도를 운영한다.
국정원은 27일 보도자료에서 “양자암호통신 장비의 검증제도에는 양자암호통신 장비 개발과 검증에 필요한 ‘국가용 보안요구사항’과 ‘보안 적합성 검증절차’가 포함되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컴퓨팅 시대에 대비해 떠오르는 차세대 보안기술이다. 국정원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이 양자암호통신 시장에 참여하고 있지만 공인시험 기준이 없어 공공분야에 진출하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검증 제도를 마련했다.
국정원은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양자키분배장비, 양자키관리장비, 양자통신암호화장비 세 가지로 분류하고 모두 152개의 보안 기준을 담았다. 시험기관으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을 지정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양자키분배장비의 핵심 보안요소인 양자특성 시험을 전담하기로 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보안 기능 검증제도로 양자암호통신 장비가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됐다”면서 “안전성이 입증된 양자암호통신 장비가 국가·공공기관으로 확산돼 국가 주요 네트워크의 안전장치가 한층 더 강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국정원은 29일 관련 업체 대상 설명회를 열고 다음달 3일부터 보안검증 신청을 받아 심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서유미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의 선정적 화보, 딸 교육에 좋지 않다” 양육권 소송 당한 대학교수
- “다비드상이 포르노라고? 와서 봐라” 伊 피렌체시 학부모 등 초청
- 태어나보니 아빠가 억만장자…저커버그 셋째 딸 얻어
- 당근 유혹해도 ‘거부’…탈출 얼룩말 세로 “완전 삐져있는 상태”
- “기저귀 찬 3살 아기에 필로폰 강제 흡입”…친모가 찍은 영상에 베트남 ‘충격’
- “죽어버리겠다” 경찰에 장난전화 700회…40대 남성 벌금형
- “가스가 안 나와요” 주택가 다니며 가스밸브 잠근 여성 체포
- 여경과 518회 만남 갖고 ‘수당’ 챙기다 아내에 들통…법원 “강등 정당”
- “벗고 있었는데” 호텔 커튼 열었다가 창문 청소부 마주친 中커플
- “보내주자” 생명유지장치 껐더니 혼수상태 아들 눈 번쩍…뉴질랜드의 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