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저출산 대책, 발상의 전환이 절실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78명대로 떨어졌다.
이제까지의 대책이 성과가 없었다면 발상의 전환이 절실한 때다.
다음은, 저출산이 예산만 투입하면 해결될 수 있다는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
발상의 전환으로 자녀를 둔 젊은 세대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저출산이 예산만 투입하면 해결될 수 있다는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 NBER는 저출산이 젊은 세대의 고용·주거 불안 등 경제적 이유 때문이라는 통설도 반박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여성 기준 2020년 40~45세인 부부들의 소득 최상위 20%와 최하위 20%에 속한 부부의 월 소득은 각각 1031만원, 247만원으로 그 격차가 784만원에 달하지만, 자녀 수는 각각 1.85명, 1.69명으로 그 차이가 0.16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큰 소득 격차에도 자녀 수가 비슷하다는 것은 저출산이 소득의 문제가 아니라는 의미다. 과감하게 예산을 투입하되 어디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 저출산의 원인을 정확히 알고 집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리’에서 ‘함께’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 탈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이를 부모로부터 분리해서 키우기보다 가까이에서 돌봄이 이루어져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정을 쌓아 가족화를 촉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기관과 기업의 직장 문화가 달라져야 한다. 여성 근로자 300명 이상 또는 근로자 500명 이상인 사업주는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고, 단독으로 설치할 수 없을 때는 공동으로 설치하거나, 지역의 어린이집과 위탁계약을 맺어 근로자 자녀의 보육을 지원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부모의 노동시간에 맞추어 아이들의 보육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에서, 아이들의 보육시간에 맞춰 부모의 노동시간을 조정하는 유연근무제를 정착시켜야 한다.
저출산 문제는 국가·사회적인 여러 위기 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이면서 치명적인 당면한 위험이다. 출산과 육아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 발상의 전환으로 자녀를 둔 젊은 세대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종민 성균관대 겸임교수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기야, 난 아파트에서 시작하고 싶어”… 30대, 결혼하려고 내집 마련? [뉴스+]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풉” 尹영상 보던 이재명, ‘웃참’ 실패…“1분 만에 거짓말 들통”
- “몸에 출산 흔적” 40대女 집 가보니…“요리에 쓰려고요” 초등생 살해한 교사 [금주의 사건사
- 김승수, 양정아에 차인 후 충격 근황…양다리 의혹 터졌다
- “네 아내 3번 임신시켜서 미안…벗겨봐서 알아” 전남친이 4년간 스토킹한 이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
- “성관계는 안했어” 안방 침대서 속옷만 걸친 채 낯선 남자와 잠자던 공무원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