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1명은 '등통증'으로 진료...나이 들수록 발병↑

신윤정 2023. 3. 27. 22: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국민 10명 가운데 1명은 등 부위에 통증을 느껴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환자 비율도 높아졌는데,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운동하는 게 중요합니다.

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61살 홍 모 씨는 4년 전 허리를 시작으로 등과 엉덩이까지 극심한 통증에 시달렸습니다.

허리 디스크, 즉 허리뼈의 추간판이 튀어나오며 신경을 자극했기 때문인데, 제대로 걷지도, 앉지도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홍 모 씨 / 경기도 고양시 : 못 움직였어요. 화장실도 못 가고…골반 쪽에 송곳으로 막 후벼 파는 듯한 느낌….]

홍 씨처럼 몸 뒷면 폭넓은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등 통증'으로 분류합니다.

척추나 허리, 엉덩이뼈뿐 아니라 위장과 췌장, 신장 등 각종 장기에 문제가 있어도 등에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장우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디스크뿐만이 아니라 척추뼈라든가 아니면 그쪽에 있는 근육이라든가 인대, 관절, 신경 이런 것들 다양한 조직들이 통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국민 10명 가운데 1명은 이런 등 통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21년 등 통증 질환 진료 인원은 546만여 명으로, 4년 전보다 6.6% 증가하며 전체 양방 질환 가운데 5번째로 환자 수가 많았습니다.

환자는 60대, 50대, 40대 순이었는데 40대에서 60대가 전체 진료 인원의 55%에 달했습니다.

잘못된 자세나 근력 저하가 등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서 나이가 들수록 등 통증 발생 위험도 커지는 것으로 지적됩니다.

[이장우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잘못된 자세라든가 반복된 부하라든가 아니면 외상이라든가 이런 것들에 의해서 발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등 통증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흔한 증상이라고 방치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먼저라고 조언합니다.

또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빠르기 걷기, 유연성 유지 등으로 근골격계 질환에 따른 등 통증은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신윤정입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