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서해수호 용사들 넋 기리며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3월26일 차디찬 서해에서는 북한의 ‘천안함 피격’으로 1200t급 초계함인 천안함이 침몰해 우리 군 40명이 전사하고 6명이 실종됐으며 수색 과정에서 1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23일에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우리 군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정전 협정 이후 최초로 민간인 사망자까지 발생했다.
당시 우리 국민들은 큰 충격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무고한 우리 군 장병들의 희생에 분노하고 큰 슬픔에 빠졌다. 이뿐만이 아니라 2002년 6월29일 서해 연평도 서쪽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의 선제 기습 포격으로 발생한 ‘제2연평해전’으로 우리 군 6명이 전사했고 19명이 부상 당했다.
지난 24일은 여덟 번째로 맞이한 서해수호의 날(매년 3월 넷째 주 금요일)이었다. 앞서 언급한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제2연평해전 등 북한의 도발에 맞서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호국영웅들을 추모하고 국민 안보의식을 결집하기 위해 2016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정부는 서해수호의 날을 계기로 희생, 공헌한 장병을 추모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서해수호 상기 주간(3월13~24일)을 정하고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기념행사를 거행했으며 같은 날 전국 각지에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의 주도로 각종 추모행사가 국민들의 참여 속에 진행됐다.
이와 뜻을 같이해 국립이천호국원에서도 서해수호 희생 장병을 추모하고 한반도의 평화 및 국민 안보의식을 다지고자 호국원장을 비롯한 전 직원, 지역민들과 호국 추모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기념 행사는 ‘튼튼한 안보가 국가발전의 기본 토대’임을 상기시킬 뿐만 아니라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을 국정의 주춧돌로 삼은 정부 의지를 확산시켜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데 의의가 있었다.
현재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는 국토 수호를 위해 고귀한 생명을 바친 호국영령들의 희생 위에 존재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항상 예기치 못한 외부의 도발을 대비하고 온 국민이 함께 이를 극복해 나가겠다는 마음으로 하나가 돼야만 할 것이다.
만물이 소생하는 따뜻한 봄날,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국립이천호국원을 찾아 나라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들의 묘역에 꽃 한 송이를 바쳐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 한·중 기업인, 중국 다롄 진푸신구 RCEP 논의…30일 인천 송도에서 RCEP 발표회
- 경기도, 4년 만의 정상 ‘헹가래’…수영, 23개 금빛 물보라
- 갈 길 먼 인천 소각장 신설... 서울·경기는 '속전속결'
- 경기교육 이끄는 참된 스승 발굴 [제34회 경기사도대상 시상식]
- 시흥산단 ‘건설업 면허 불허’ 해법 찾는다 [경기일보 보도, 그 후]
- 유정복 인천시장 “GTX-B, 추가 정차역 신설 총력”
- 경찰, 교통사고 피해 신고 12일만에 접수
- 경기도 주거복지센터, 자문위원회 위원 위촉 ‘전문가 총출동’
- 경과원, 반려동물용품 산업 경쟁력 강화 나섰다
- 발달장애인들의 'AI 창조의 경계를 넘어' 전시회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