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외식’ 치킨집 3만곳 생길때…더 많이 늘어난 ‘이 곳’
전문 한식 가맹점 약 40% 증가
‘국민메뉴’ 치킨은 3만곳 코 앞
편의점은 전국 5만곳 넘기며
국민 1000명당 1곳 꼴 달해
27일 공정거래위원회의 ‘2022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전국의 외식 가맹점 수는 16만7455개로 전년보다 23.9% 늘었다. 2013년 통계 작성 이래(2016년부터 발표) 최대치일 뿐 아니라, 증가율도 가장 높다. 이에 따라 서비스업종과 도소매업종 등을 포함한 전체 가맹점수도 같은 기간 24.0%(6만4813개)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외식업종 분야를 세부 업종별로 보면 본죽을 비롯한 한식 가맹점 수가 3만6015개로 39.8% 늘며 치킨 가맹점 수를 넘어섰다. 신규 점포 수가 많은 한식 브랜드는 담꾹(394개), 김준호의 대단한갈비(278개), 집밥뚝딱(158개) 순으로, 밀키트 포장·배달 전문점에 해당한다. 치킨 가맹점 수는 2만9373개로 13.6% 늘면서 3만개를 앞두게 됐다. 가맹점 수와 신규 개점 수 모두 bbq(2002개·442개 증가)가 가장 많았고, BHC(1770개·370개 증가)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외식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은 2억7900만원으로 전년보다 1.4% 하락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치킨(-2.2%), 한식(-6.0%), 피자(-6.5%) 관련 가맹점이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커피(6.0%), 제과제빵(2.4%)은 늘었다. 커피업종은 가맹점 수가 2만3204개(30.0%), 제과제빵은 8779개(5.5%)로 증가했다. 이 중 가맹점의 평균 매출액 대비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은 4.3%로 나타났다. 세부 업종별로는 치킨업종이 7.0%로 가장 높았다. 차액가맹금은 가맹점사업자가 가맹본부로부터 공급받는 상품·원재료·부재료·정착물·설비와 원자재의 가격 또는 부동산의 임차료에 대해 가맹본부에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대가 중 적정한 도매가격을 넘는 대가로 일종의 유통마진에 해당한다.
커피업의 경우 저가형 브랜드가 강세를 보였다. 공정위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커피업 분야 가맹점 최다 브랜드는 2019년 이디야(2651개)-투썸플레이스(1097개)-메가MGC커피(798)에서 2021년 이디야(3005개)-메가MGC커피(1593개)-투썸플레이스(1330개) 순으로 역전됐다. 국내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높은 스타벅스는 지난해 가맹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김성근 공정위 가맹거래과장은 “현재 스타벅스는 전 점포가 직영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도소매업종에서는 편의점업종 가맹점 수가 7.0% 증가한 5만2168곳으로 집계되며 처음으로 5만개를 넘겼다. 지난해 한국 인구가 5144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1000명당 1곳에 해당하는 꼴이다. 다만 편의점 평균 매출액은 전년보다 0.1% 감소했다. 브랜드별로는 CU가 1만5669곳으로 1위를 기록했고, GS25(1만5402곳)와 세븐일레븐(1만900곳), 이마트24(5756곳)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GS25가 6억2053만원으로 CU(5억9400만원)를 앞지르고 1위에 올랐다.
서비스업종에서는 가맹택시사업을 포함한 운송업종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브랜드별로는 카카오T블루(KM솔루션, DGT모빌리티)의 가맹점(개인택시 및 법인) 수가 1만6312개로 가장 많았고, 우티(5171개)가 뒤를 이었다. 다만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돼 있어 평균 매출액 비교에 적합하지 않아 집계 대상에서는 빠졌다.
김성근 과장은 “전체 가맹사업자 중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브랜드의 비중은 4.0%로 나타나 전년 대비 0.5%포인트 늘어난 반면,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 비중은 73.0%로 전년 대비 소폭(4.3%포인트) 감소했다”며 “직영점을 1개 이상, 1년 이상 운영해야 신규 정보공개서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소규모가맹본부에 대한 정보공개서 등록·제공 의무를 신설한 개정 가맹사업법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밀번호·직인도 도용했다”…횡령액 700억원대 ‘이 은행’ 어디길래 - 매일경제
- “어떻게 끼인걸까” 대형마트 주차장 출구 막은 차량의 사연 - 매일경제
- “이대로면 나라 망한다”…세금 217조원 써야할 판이라는데 - 매일경제
- 교황이 입고 있는 저 패딩 브랜드가 뭐에요?…알고보니 - 매일경제
- 식물인간 아들 15년 돌본 며느리에 이혼 소송 제기한 中 시부모, 왜 - 매일경제
- “회사에 놀러 다니냐”…연차 막은 상사, 책임 면한 이유는? - 매일경제
- “쓰레기 구합니다”…금값 됐다는 이것의 정체는 - 매일경제
- 태국서 온 350명 관광객, 쇼핑하다 입이 쩍 벌어진 이유는 - 매일경제
- 3번의 황금연휴 5월, ‘이곳’ 많이 간다는데…피할까, 나도 갈까 - 매일경제
- 외신, 정찬성 UFC 은퇴 상대로 영국 스타 제안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