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왕야쥔 평양 주재 중국대사, 2년 만에 부임"...북한 국경 개방 신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왕야쥔 북한 주재 중국 대사가 27일 평양에 부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일본 NHK방송이 보도했다.
북한 관영 매체는 같은 해 12월 리진쥔 전 대사가 6년 9개월 만에 중국으로 귀국한다고 보도했으나, 왕 대사는 평양에 입성하지 못했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중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해 왕 대사의 입국만 특별히 받아들인 것인지, 이를 국경 재개방 신호로 볼 수 있을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대 후원국 중국과 관계 강화하려는 의도"
왕야쥔 북한 주재 중국 대사가 27일 평양에 부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일본 NHK방송이 보도했다. 북한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경을 봉쇄한 이후 외국 외교관을 받아들인 것은 처음으로, 국경을 다시 개방할 신호인지 주목된다.
27일 왕 대사가 중국 동북부 단둥에서 차량을 타고 압록강에 놓인 다리를 건너 북한 신의주로 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왕 대사는 2021년 2월 지명됐다. 북한 관영 매체는 같은 해 12월 리진쥔 전 대사가 6년 9개월 만에 중국으로 귀국한다고 보도했으나, 왕 대사는 평양에 입성하지 못했다.
NHK는 "중국 측이 (최근) 왕 대사의 빠른 부임을 요구했다"는 북중 관계 소식통의 말을 전했다. 왕 대사는 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부장 등을 지냈으며, 2018년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면담한 바 있다.
북한은 2020년 1월부터 국경을 폐쇄 중이다. 지난해 말 북한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을 오가는 화물 열차 운행이 재개됐지만, 북한과 중국의 육로 통행은 여전히 막혀 있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중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해 왕 대사의 입국만 특별히 받아들인 것인지, 이를 국경 재개방 신호로 볼 수 있을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도쿄= 최진주 특파원 pariscom@hankookilbo.com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peoplepeople@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남조선 사람 안 받습네다"...베이징 북한식당, 한국인 '문전박대'
- "69억 빚 올해 청산" 이상민, 12세 연하와 소개팅서 채무 고백
- '전원일기' 일용이 박은수 "80억 날리고 기초수급자"
- 노소영, 최태원 회장 동거인에 30억 위자료 소송 제기
- "입주민 80% 싫어한다"며 해고…대구서도 '경비원 인사 갑질' 논란
- 고사 직전 '벚꽃좀비송'도 일찍 부활했다
- 전두환 손자 사과?...5·18단체 "마약 음성이면 못 만날 이유 없어"
- 엑소 세훈, 여자친구 혼전임신설에 "허위사실 법적 대응"
- 증오비를 위령비로… 교류에 진심 '풀뿌리 외교'가 뜬다
- 박지현 “이재명, 개딸에 말만 말고 '절연' 행동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