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리오프닝 훈풍' 석화업계 실적 개선 기대감

권준호 2023. 3. 27. 1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3월 국내 석유화학업계 주요 제품 스프레드(제품가-원가)가 지난해 말 대비 소폭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업계 '빅4'의 손실폭이 올해 1·4분기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면서 "올해까지는 수요보다 공급 증가가 많아 (석유화학사들의) 큰 폭의 실적 개선은 어렵겠지만 1·4분기보다는 2·4분기가, 2·4분기보다는 3·4분기가 더 좋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력제품 스프레드 회복세
LG·롯데·금호 손실폭 감소
한화솔루션 흑자전환 전망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3월 국내 석유화학업계 주요 제품 스프레드(제품가-원가)가 지난해 말 대비 소폭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업계 '빅4'의 손실폭이 올해 1·4분기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화학업계에 따르면 이달 LG화학, 롯데케미칼, 금호석유화학, 한화솔루션 등 국내 석화 빅4가 주로 생산하는 제품 스프레드는 지난해 말 대비 벌어지고 있다. 스프레드는 제품가에서 원가를 뺀 이익이다.

LG화학이 주로 만들어 파는 고부가합성수지(ABS) 제품 가격은 지난해 12월 t당 1279달러에서 3월 셋째주 1379달러로 7.8% 상승했다. 2월에도 t당 1377달러, 1월 1321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평균 가격 모두 12월 평균가를 웃돌았다.

롯데케미칼 주력 제품인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염화비닐(PVC)도 모두 회복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12월 t당 893달러였던 PP 평균 제품가격은 1월 936달러, 2월 951달러로 오른 데 이어 3월 셋째주까지는 979달러까지 올랐다. 같은 기간 PVC는 t당 791달러에서 875달러까지 10% 이상 회복했다.

이밖에도 한화솔루션이 만드는 폴리에틸렌(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금호석유화학의 NB라텍스 스프레드도 소폭 올랐다. 특히 금호석유화학의 경우 또 다른 주력 제품 기능성합성고무(EPDM)의 1·4분기 수요도 견조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동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EPDM의 북미 수요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며 "러시아 합성고무 수출 제한 및 최근 몇 년 동안 설비 합리화로 인한 견고한 수급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반면 석유화학 제품의 주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은 비슷하다. 지난해 12월 t당 642달러였던 나프타 가격은 올해 3월 66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석화 빅4의 1·4분기 석유화학 부문 실적이 작년 말 대비 개선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LG화학의 1·4분기 석유화학부문 영업손실을 198억원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4·4분기 영업손실 1660억원과 비교하면 큰 폭의 개선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도 같은 기간 한화솔루션의 석유화학 부문 영업이익을 675억원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동기 보다는 73.8% 줄어든 수치지만 직전 분기(영업손실 321억원) 대비 1분기만의 흑자전환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롯데케미칼과 금호석유화학의 1·4분기 실적을 각각 영업손실 1410억원, 영업이익 1162억원으로 내다봤다. 직전 분기 롯데케미칼의 영업손실 3957억원, 금호석유화학 1139억원보다 개선된 수치다.

김평중 한국석유화학협회 본부장은 "3월 중순부터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한 스프레드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이는 중국 내 리오프닝에 따른 기대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까지는 수요보다 공급 증가가 많아 (석유화학사들의) 큰 폭의 실적 개선은 어렵겠지만 1·4분기보다는 2·4분기가, 2·4분기보다는 3·4분기가 더 좋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