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롱맨' 서정진 컴백···5조 M&A 자금조달 총력전

김병준 기자 2023. 3. 27. 17: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트롱맨' 서정진 명예회장이 28일 셀트리온(068270) 주주총회에서 공식 복귀한다.

'소방수'를 자처한 만큼 업계에서는 서 회장이 산적해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고 있다.

2021년 3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서 회장이 2년 만에 공식 복귀하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유플라이마 허가가 지연됨에 따라 경쟁사 대비 판매 전략 수립이 늦어진 만큼 서 회장이 직접 현장 영업을 챙길 것으로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 주총 3대 포인트
박스터 CMO사업부 인수 추진
3사합병 등 회계문제 당면과제
자사주 매입·소각해 주가부양
서정진 회장 임기 2년내 승부수
[서울경제]

‘스트롱맨’ 서정진 명예회장이 28일 셀트리온(068270) 주주총회에서 공식 복귀한다. ‘소방수’를 자처한 만큼 업계에서는 서 회장이 산적해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의약품 매출 1위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의 바이오 시밀러 유플라이마 허가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셀트리온·셀트리온제약(068760)·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등 3사 합병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일 수 있다는 전망이다. 아울러 셀트리온이 최근 5조 2000억원에 달하는 박스터 인터내셔널의 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부 인수전에 참여한다고 밝힌 만큼 어떻게 인수자금을 조달할지도 관심이다.

서정진 명예회장. 사진 제공=셀트리온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28일 제32기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서 회장은 이날 주총에서 이사회 승인을 거쳐 이사회 공동 의장 자리에 오른다. 2021년 3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서 회장이 2년 만에 공식 복귀하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서 회장이 주총 자리에 어떤 형태로든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 회장은 지난해 3월 주총에서 “주주들이 원한다면 3사 합병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올해 주총에서도 적극적인 M&A, 3사 합병, 바이오 시밀러 사업 등에 대해 주주들에게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셀트리온이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박스터는 수액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이다. 바이오의약품, 백신 등의 제형 개발과 상용화를 포함해 위탁생산(CMO)을 전문으로 한다. 셀트리온이 박스터 사업부를 인수하면 미국 정부의 ‘바이오 제조 행정 명령’에 대응해 현지 생산 시설을 확보할 수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셀트리온이 어떤 방식으로 인수자금을 마련할지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 셀트리온이 보유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500억 원 규모다. 5조 2000억 원에 달하는 인수 규모를 고려하면 셀트리온이 재무적투자자(FI)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를 추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물밑에서 컨소시엄이 구성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서 회장의 현장 경영도 관심이다. 서 회장은 평소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을 강조해왔다. 그가 경영에 공식 복귀하면 현장을 직접 챙길 가능성이 크다고 점쳐지는 이유다. 셀트리온은 당초 특허 만료 시점에 맞춰 올해 7월 유플라이마의 출시를 준비해왔다. 다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실사에 차질이 생기며 품목허가 신청 과정에서 수 차례 보완 요구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유플라이마 허가가 지연됨에 따라 경쟁사 대비 판매 전략 수립이 늦어진 만큼 서 회장이 직접 현장 영업을 챙길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경영에 복귀한 만큼 현지 유통망 점검 등 미국·유럽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동안 미진했던 셀트리온 3사 합병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2년 임기로 이사회 의장에 복귀하는 만큼 2년 내 승부를 볼 것이란 관측이다. 셀트리온 매출의 상당부분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제품을 넘기면서 발생한다. 그동안 재고자산의 회계 처리 문제 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3사 합병을 바탕으로 그동안 제기된 의혹을 해소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도를 제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사주 매입·소각 등의 주주가치제고 정책도 적극 시행될 전망이다.

김병준 기자 econ_ju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