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스위스 명품 위블로, 300억에 에코시계 품었다

차준호 2023. 3. 27.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명품 그룹인 LVMH(루이비통모에헤네시) 계열사인 스위스 명품 시계 브랜드 위블로(Hublot·사진)가 한국 시계 소재·부품 제조업체인 에코시계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에코시계는 시계 베젤(테두리)에 쓰이는 핵심 부품인 세라믹을 제조해 여러 명품 브랜드에 납품해온 강소업체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저가 경쟁을 펼치며 세라믹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프리미엄 시계 브랜드에선 에코시계를 포함한 한국 기업들의 전문성이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VMH 계열사, 韓강소기업 인수
지분 70% 매입해 경영권 확보
독보적 '세라믹 베젤' 기술 강점

마켓인사이트 3월 27일 오전 9시41분

글로벌 명품 그룹인 LVMH(루이비통모에헤네시) 계열사인 스위스 명품 시계 브랜드 위블로(Hublot·사진)가 한국 시계 소재·부품 제조업체인 에코시계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에코시계는 시계 베젤(테두리)에 쓰이는 핵심 부품인 세라믹을 제조해 여러 명품 브랜드에 납품해온 강소업체다.

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위블로는 고영곤 에코시계 대표이사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 100% 중 7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최근 맺었다. 거래금액은 약 300억원이다.

에코시계의 전신은 1986년 설립된 진성시계다. 롯데, 현대, 신세계 등 유명백화점에 직영 매장을 열고 저가형 시계를 팔았다. 외환위기(IMF) 때 타격을 입자 1999년 상호를 바꾸고 유명 브랜드에 반제품 시계를 납품하는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모델로 사업 구조를 전환했다. 2008년부턴 위블로, 스와치 등 글로벌 수요처를 확보해 세라믹 등 부품을 납품해왔다. 2014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스위스 방문 때 위블로와 세라믹 신소재 핵심 부품 개발협력의향서를 체결하고 향후 10년간 5000만달러의 장기 계약을 맺기도 했다.

위블로는 에코시계와 거래를 이어오다가 기술력을 눈여겨보고 경영권을 인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코시계는 광물인 지르코니아 파우더를 1450도 이상 고온으로 구워내 시계에 사용되는 세라믹을 생산한다. 에코시계의 세라믹은 긁혀도 흠집이 거의 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 데다 경쟁사 대비 색감이 뛰어나 주목받아 왔다.

서울 성동구에 본사를 둔 에코시계는 한때 중국 선전에서 공장을 운영하다가 2013년 경기 광주로 생산거점을 옮겼다. ‘메이드 인 차이나’보다 ‘메이드 인 코리아’가 더 신뢰를 준다는 이유에서였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저가 경쟁을 펼치며 세라믹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프리미엄 시계 브랜드에선 에코시계를 포함한 한국 기업들의 전문성이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