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레' 덮친 하이닉스·LG화학…이익 반토막, 인건비는 20% 급증

박의명 2023. 3. 27. 17: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19년 조사에서 한국 노동 유연성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가운데 34위로 진단했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6조809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5% 줄었지만 인건비는 4조601억원으로 21.63% 급증했다.

LG화학은 작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0% 넘게 감소했지만 인건비는 27.98% 급증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기대 이하의 실적(영업이익 0.67% 감소)을 냈지만 인건비는 21% 급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닝쇼크에도 치솟는 인건비
대기업발 '임금 인플레' 부메랑
경기침체 겹쳐 수출경쟁력 약화
반도체·화학·전자 영업이익 급감
노동 유연성 세계 꼴찌 수준
해외처럼 정리해고 어려워
"기업 인건비 부담 가중되면서
작년 하반기부터 현금흐름 악화"

세계경제포럼(WEF)은 2019년 조사에서 한국 노동 유연성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가운데 34위로 진단했다. 사실상 꼴찌다. WEF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부터 관련 집계를 중단했으나 상황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엔 대기업발 급여 인플레이션까지 가세해 국내 기업들의 인건비가 급증하고 있다. 경기 침체 등으로 실적이 급감하고 있어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인건비 2년 연속 급증

27일 한국경제신문이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30개 상장사(지주사·합병사 제외)의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급여 총액은 53조6564억원으로 전년보다 3조6211억원(7.23%)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급여 총액은 2019년 1.14%, 2020년 3.82%로 비교적 낮은 증가율을 유지했지만 2021년 18.66% 급증한 뒤 지난해에도 높은 증가율을 이어갔다. 2021년엔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을 내 인건비 부담이 그나마 작았지만 지난해엔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 부담이 커졌다.

국내 기업의 인건비 급증은 인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급여를 올리는 대기업발 인플레이션이 벌어진 게 주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2020년 플랫폼과 인터넷 기업을 중심으로 시작된 이런 현상은 2021년과 지난해 반도체, 전기전자, 조선 등 업계 전반으로 확산했다.

경영계는 글로벌 기업들이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인원 감축을 통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지만 한국 기업들은 노동시장 경직성 때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정규직은 정리해고 시 노조가 합의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각종 법률과 공공정책도 해고를 제한하고 있다”며 “한국은 법적·도덕적 문제를 일으킨 데 따른 징계성 해고가 아니면 정규직을 내보내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적 악화에도 인건비 급증 기업 속출

국내 대기업 중 성과급 논란이 가장 먼저 불거진 SK하이닉스는 인건비 부담이 커진 대표적인 사례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6조809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5% 줄었지만 인건비는 4조601억원으로 21.63% 급증했다. 지난해 기본급이 8.07% 인상되고 특별 성과급이 지급된 가운데 솔리다임 등 신규 인수 자회사의 인건비가 추가된 점이 인건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개발자 인건비 상승으로 어닝쇼크가 발생한 네이버도 인건비가 16.38% 늘어 상위권을 기록했다. 젊은 개발자가 많은 카카오뱅크는 영업이익이 28.89% 늘었는데 인건비 증가율은 두 배에 가까운 44%에 달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MZ세대의 등장이 인건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젊은 직원이 많은 인터넷, 플랫폼, 배터리 기업들의 인건비가 최근 들어 급증한 이유”라고 말했다.

LG화학은 작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0% 넘게 감소했지만 인건비는 27.98% 급증했다. SK이노베이션(79.7%), LG에너지솔루션(27.7%), 포스코퓨처엠(옛 포스코케미칼·15.6%) 등 2차전지 관련 기업들도 인건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기대 이하의 실적(영업이익 0.67% 감소)을 냈지만 인건비는 21% 급증했다. LG전자는 영업이익이 12.5% 줄었지만 인건비는 4.63% 늘어났다. 한국전력은 영업손실이 32조6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여섯 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인건비는 0.76% 줄어드는 데 그쳤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작년 하반기부터 경기 침체 여파로 국내 기업들의 실적이 감소하고 있지만 인건비는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기업들의 현금 흐름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