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먹거리 물가 고공행진…민생부담 완화 대책 강구해야

연합뉴스 2023. 3. 27. 14: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먹거리 가격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다.

외식 등 먹거리 가격이 전체 소비자 물가의 상승세를 다시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분석하면 전기·가스·수도(28.4%)에 이어 가공식품(10.4%), 기타 농산물(10.4%), 외식(7.5%) 등 먹거리가 상위권에 들어 있다.

외식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가격은 지난해부터 공공요금과 더불어 전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래픽] 가공식품·외식 물가 상승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지수는 115.45로 지난해 동월보다 7.5%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4.8%)을 웃돌았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도 10.4%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고 있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서울=연합뉴스) 먹거리 가격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다. 최근 빵·과자·아이스크림·생수 등 가공식품과 햄버거와 치킨 등 외식 가격이 잇따라 인상되고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지수는 115.45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5% 올랐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의 경우 9.0%까지 치솟았던 적이 있는데 이는 1992년 7월(9.0%) 이후 30년 2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지난해 10월 이후 외식 물가 상승률이 다소간 둔화하는가 싶었는데 올해 들어 외식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는 것이다. 외식 가격 오름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서울에서 냉면·비빔밥 한 그릇이 1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포털에 근거하면 지난달 서울 냉면 평균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3% 오른 1만692원에 달했다. 비빔밥은 8.7% 오른 1만115원이다. 외식 등 먹거리 가격이 전체 소비자 물가의 상승세를 다시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물가로 인한 서민층 등의 부담이 당분간 가중될 것이란 우려를 지우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0.4%를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4월(11.1%)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치즈 34.9%, 식용유 28.9%, 밀가루 22.3%, 빵 17.7%, 커피 15.6% 등이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4.8%다.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에 4%대로 내려온 것인데 먹거리 물가 상승 추이를 보면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의 진정세를 점치긴 일러 보인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분석하면 전기·가스·수도(28.4%)에 이어 가공식품(10.4%), 기타 농산물(10.4%), 외식(7.5%) 등 먹거리가 상위권에 들어 있다. 외식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가격은 지난해부터 공공요금과 더불어 전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고물가·고금리가 동반한 민생고의 실상을 면밀히 살피고 대책을 서둘러야 할 때다. 국내 경제는 '양대 축'으로 불리는 수출과 내수 부문에 대해 '침체'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경제의 동력을 찾는 일도 시급한데 물가는 치솟는 복합적인 위기의 수렁에 빠져드는 게 아닌지 걱정스럽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2021년 6월부터 지난달까지 21개월째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상회했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식품 기업에 가격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 기조에 걸맞게 기업들이 원가를 절감하는 등 자체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다만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 요인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마냥 자제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무엇보다 정부로선 취약계층을 비롯해 민생 현장의 고물가 부담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 나가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