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생아 3명 중 2명은 ‘첫째’…둘째·셋째는 갈수록 줄어

이호준 기자 2023. 3. 26. 21: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째 아이 출산 평균 연령 32.6세
만혼·노산에 다자녀 부담 인식 탓

지난해 출생아 중 첫째아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만혼과 결혼·자녀관 변화 등으로 아이를 둘 이상 낳는 가구가 점점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26일 통계청의 ‘2022년 출생·사망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태어난 아이 중 첫째아는 15만6000명으로 전체 출생아(24만9000명) 가운데 62.7%를 차지했다.

이는 출산 순위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종전 최고치는 2021년 56.8%였다.

지난해 출생아 중 첫째아는 2021년(14만8000명)보다 5.5%(8000명) 늘었다. 2015년에 1.4%(3000명) 증가한 이후 7년 만의 반등이다. 코로나19 등으로 미뤄왔던 출산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둘째아는 2021년 9만1000명에서 2022년 7만6000명으로 16.7%(1만5000명), 셋째아 이상은 2만1000명에서 1만7000명으로 20.9%(4000명) 각각 급감했다. 지난해 전체 출생아는 전년보다 4.4%(1만2000명) 줄었는데, 아이를 둘 이상 낳지 않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전체 출생아 중 둘째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35%에서 30.5%로, 셋째아 이상은 8.2%에서 6.8%로 줄었다.

자녀를 2명 이상 낳지 않는 배경에는 출산 시기가 점점 늦어지고, 결혼과 자녀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1년 기준 여성이 첫째아를 낳는 연령은 평균 32.6세로 1년 전보다 0.3세 늘었다. 1993년(26.2세) 이후 매년 높아지고 있다. 첫째아를 낳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둘째아 이상을 낳기는 어려워진다.

결혼 후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인식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중 결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50%에 그쳤고,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65.3%에 그쳤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