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자리 없애고 가격은 올려···문화 양극화 부추기는 뮤지컬

서지혜 기자 2023. 3. 26. 18: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층 뿐 아니라 2층 객석의 앞좌석도 VIP석으로 전체 좌석의 60% 이상 가장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었다.

예매가 어려운 공연인 만큼 서둘러 좌석을 확보했지만 시야가 좋지 않은1층 뒷좌석과 2층 앞좌석이 1층 가장 앞좌석과 같은 가격이라는 사실에 대한 의구심은 가시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분기 티켓 판매량 보니]
가격 비싼 VIP석 비중 확대 영향
10만원이상 티켓 판매액 25% 늘고
5만~10만원대 중저가는 6% 줄어
자재·인건비 상승에 늘어난 제작비
소비자에게만 전가하면 시장 위축
공연계·지자체 함께 해법 고민해야
[서울경제]

#.최근 서울의 한 대형 뮤지컬 극장에서 좌석을 알아보던 A씨는 깜짝 놀랐다. 1층 뿐 아니라 2층 객석의 앞좌석도 VIP석으로 전체 좌석의 60% 이상 가장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었다. 예매가 어려운 공연인 만큼 서둘러 좌석을 확보했지만 시야가 좋지 않은1층 뒷좌석과 2층 앞좌석이 1층 가장 앞좌석과 같은 가격이라는 사실에 대한 의구심은 가시지 않았다.

국내 뮤지컬 제작사의 티켓 가격 인상으로 공연 애호가들의 불만이 높아진 가운데, 올해 1분기에 판매된 뮤지컬 티켓 중 10만 원이 넘는 고가 티켓의 판매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티켓값 인상 뿐 아니라 전체 좌석 중 가장 가격이 비싼 VIP석 좌석 비중 확대가 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 데이터의 지난 22일 기준 집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2023년 1월 1일~3월 23일) 뮤지컬 티켓 중 10만 원 이상의 최고가 티켓 판매액은 653억4818만 원으로 전년 동기(2022년 1월 1일~3월 31일) 519억4187만 원보다 25.8%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5~10만 원대의 중저가 티켓은 판매액이 156억5588만 원으로 전년동기 166억5278만 원보다 줄었다. 판매건수도 유사한 흐름이다. 10만 원 이상 최고가 티켓의 판매 건수는 같은 기간 38만1995건에서 45만9877건으로 20% 가량 늘어난 중저가 티켓의 판매 건수는 21만5863건으로 전년동기 23만1748건에 비해 감소했다.

이처럼 저렴한 티켓 판매량이 감소한 것은 대형 뮤지컬 공연 제작사가 티켓의 가격을 올리고, 비싼 티켓의 좌석 점유율을 높인 탓이다. 실제로 아이돌 출신 A급 배우를 주연으로 하는 한 뮤지컬은 16만 원 안팎의 VIP석이 1층 뒷좌석 뿐 아니라 2층 앞부분까지 이어진다. 인터파크를 통해 확인한 결과 뮤지컬 ‘데스노트’, ‘베토벤’, ‘영웅’, ‘오페라의 유령’ 등 1분기 중 공연을 진행했거나 개막을 앞두고 있는 상당수 대형공연이 이처럼 VIP석을 2층 앞좌석까지 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제작사들이 고가 티켓 판매를 경쟁적으로 늘리는 데도 사정은 있다. 뮤지컬은 대중 공연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티켓 가격을 한 번에 크게 올릴 수 없다. 코로나19 이후 물가가 급격히 오르면서 공연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자재비, 인건비 등 제작비 규모가 전반적으로 늘어나면서 티켓 가격을 소폭 인상 했지만 아이돌 출신 등 스타 배우에 지급하는 개런티 등 제작비 부담이 커지면서 손익을 맞추기 어려워진 게 사실이다. 결국 업계는 가격은 소폭 인상하고 VIP 좌석 판매를 늘리는 방식으로 손실을 회피하고 있다. 일부 극장에서는 1층의 같은 열(같은 높이의 좌석)의 바로 옆 자리인데도 티켓 가격이 서로 다른 기현상까지 나타나는 상황이다.

하지만 공연계가 이처럼 제작비 상승의 책임을 오롯이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전체 시장의 성장도 위축될 수 있다. 해외의 경우 공연장을 쇼핑몰, 식당가와 연결하는 등 공연장을 관광상품화 해 수익을 창출하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제작비 상승 부담을 제작사가 홀로 지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쉽지 않다. 원종원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는 “해외에서는 문화산업 육성을 위해 제작사 뿐 아니라 극장, 지자체 등이 모두 자원을 투입하지만 국내에서는 제작비 상승을 제작사가 혼자 감당한다”며 “뮤지컬을 문화산업 육성 측면으로 접근해 3개월 안팎의 비싼 공연보다는 좋은 작품이 중대형 극장에서 장기간 공연되는 문화를 지자체가 함께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wise@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