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사외이사 늘리고, 주총서 친환경 캠페인

김형규/정지은/선한결 2023. 3. 26. 17: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업들이 주주총회를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카카오 역시 28일 열리는 주총에서 배당액을 확정한 뒤 배당기준일을 이사회가 정하는 내용의 안건을 올렸다.

HDC현대산업개발,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등도 주총을 통해 여성 사외이사를 처음으로 선임했거나 선임한다.

삼성전자는 주총 현장 자체를 ESG 경영 무대로 꾸며 눈길을 끌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주총 키워드도 ESG 경영
현대차 등 '先 배당액 확정' 선언
배당액 확인후 투자 가능해져
SK는 女 사외이사 30% 이상↑
전현직 기업인 비중도 대폭 확대
삼성전자, 주총장에 'ESG 포토존'
삼성전자가 주주총회장에 마련한 ‘포장재 재활용’ 체험 부스. 삼성전자 제공


기업들이 주주총회를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여성 사외이사 비중을 늘리는 등 G(지배구조) 부문을 개선하는 곳이 많다. 주총 소집 공고에 종이를 쓰지 않는 등 ‘디테일’도 달라졌다. 큰 틀에서 형식 요건을 갖추는 데 주력한 지난해보다 ESG 경영이 한층 더 고도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차 등 “배당액 먼저 확정”

26일 업계에 따르면 주총 시즌을 맞아 ‘깜깜이 배당’ 관행을 없애기 위해 배당 제도를 손보는 기업이 늘고 있다. 배당 제도는 국내외 ESG 평가기관이 G 부문에서 주요하게 평가하는 항목이다. 투자자의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원칙을 세우고 있는지, 이를 제대로 이행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본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최근 주총을 통해 ‘선(先) 배당기준일, 후(後) 배당액 확정’이던 기존 운영 방침을 ‘선 배당액, 후 배당기준일 확정’으로 바꿨다. 배당이 얼마인지를 확인한 뒤 주식을 살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얘기다. 포스코와 SK㈜는 물론이고, 신한·KB국민·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도 같은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 카카오 역시 28일 열리는 주총에서 배당액을 확정한 뒤 배당기준일을 이사회가 정하는 내용의 안건을 올렸다. 주주가 얼마만큼 배당받을지 예측하기 쉽도록 내용을 바꾸기 위해서다.

 女 사외이사는 필수

지난해에 이어 여성 사외이사를 늘린 곳도 많이 눈에 띈다. 이사진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움직임이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SK그룹이다. SK그룹 12개 주요 관계사가 이번 주총으로 신규 선임한 사외이사 12명 중 7명이 여성이다. 계열사 전체 이사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21%로 작년보다 7%포인트 올랐다. 여성 사내이사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여명희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여성으로는 처음 신규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HDC현대산업개발,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등도 주총을 통해 여성 사외이사를 처음으로 선임했거나 선임한다.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별도 기준 자산총계 2조원 이상의 상장사는 이사회 구성원을 특정 성(性)으로만 구성할 수 없도록 규정한 자본시장법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학교수에 편중된 사외이사 풀을 다변화하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SK그룹 계열사는 사외이사에서 전·현직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인과 전문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을 15%에서 25%로 높였다.

 ‘디테일’이 달라졌다

삼성전자는 주총 현장 자체를 ESG 경영 무대로 꾸며 눈길을 끌었다. 주총장 입구에 ‘지속가능한 일상’이라는 ESG 테마로 꾸민 포토존을 설치한 게 대표적이다.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갤럭시S23으로 사진을 찍고 공유할 기회를 제공했다.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인 하이페리온을 본뜬 친환경 소재 ‘응원 메시지 월’도 주목받았다. 주주들은 나뭇잎 모양의 카드에 회사에 바라는 점, 회사를 응원하는 메시지를 작성해 나무에 달았다.

주총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물품도 친환경 소재를 적용했다. 삼성전자는 주총 안내장 등 인쇄물에 재생지를 이용하고, 주총 의안은 버리기 쉬운 서류 봉투 대신 재사용이 가능한 종이 가방에 담아 제공했다.

김형규/정지은/선한결 기자 khk@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