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콘텐츠 5건 중 1건은 ‘청불’…넷플릭스가 최다

오경묵 기자 2023. 3. 26. 16: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나는 신이다'.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총재 정명석씨의 성범죄 등을 다룬 이 다큐는 선정성 등을 이유로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이 매겨졌다. /넷플릭스

최근 3년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 제공된 콘텐츠 5건 중 1건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OTT 서비스 가운데는 넷플릭스에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 콘텐츠가 가장 많았다.

2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이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2년 등급 분류 심의를 진행한 OTT 콘텐츠 8365편 가운데 21%인 1763편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이었다. 15세 이상 관람가가 2555편(30.5%)이었고, 전체 관람가가 2263편(27.1%), 12세 이상 관람가가 1784편(21.3%) 순이었다.

청소년 관람 불가 영상물을 플랫폼별로 보면 1763편 중 1145편(64.9%)이 넷플릭스 콘텐츠였다. 디즈니플러스 195편, 티빙 147편, 웨이브 126편, 쿠팡플레이 57편, 왓챠 50편, 애플TV플러스 43편 등이었다.

28일부터는 OTT 자체 등급 분류제도가 시행된다.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을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의원은 “국내외 OTT 시장이 급성장한 가운데, 마약, 폭력, 음주 등 청소년에게 유해한 영상물이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며 “OTT 자체 등급 분류제도가 OTT 업계의 시청률 경쟁으로 이어져 영상물 연령 등급을 낮출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체 등급 분류제의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청소년에 대한 유해 콘텐츠 노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엄격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