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 임금 1500만원 오를때 학원교사 900만원 하락

박은희 2023. 3. 26. 15: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증가했으나 기업의 규모·업종별 임금 인상률의 차이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특징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코로나19 팬데믹 3년(2020~2022년) 동안 10.7% 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증가했으나 기업의 규모·업종별 임금 인상률의 차이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상여금을 포함한 특별급여의 격차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 기간 동안 금리인상 수혜를 본 300인 이상 금융보험업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큰 피해를 본 300인 이상 교육서비스업 간 임금 차이는 5000만원 이상으로 벌어졌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특징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코로나19 팬데믹 3년(2020~2022년) 동안 10.7% 올랐다. 임금 구성항목별로는 특별급여 인상률이 이 기간 13.6%로 기본급과 통상적 수당 등을 합한 정액급여 인상률(10.3%)보다 높았다.

특별급여는 연도별 변동성이 컸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에 전년 대비 9.9% 감소했다가 2021년 14.3%, 지난해 10.4% 인상되는 등 최근 2년(2021~2022년) 간 26.1% 올랐다. 반면 정액급여는 전년 대비 2020년 2.2%, 2021년 3.4%, 2022년 4.3%의 인상률을 보였다.

사업체 규모별 지난해 연평균 임금총액은 300인 미만 4187만원, 300인 이상 6806만원이었다. 최근 3년(2020~2022년) 간 각각 392만원(10.3%), 618만원(10.0%) 인상됐다. 같은 기간 정액급여 인상률은 300인 미만 사업장이 10.5%로 300인 이상(8.1%)보다 높았으나 특별급여 인상률은 300인 이상(15.5%)이 300인 미만(8.6%)을 크게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이 이 기간 동안 연평균 7419만원에서 8713만원으로 17.5%(1294만원) 올라 인상률과 인상액 모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교육서비스업은 임금 총액이 4432만원에서 4272만원으로 3.6%(160만원) 줄어 최저치를 보였다.

업종과 규모를 교차분석한 결과 최근 3년 간 연평균 임금총액 인상액이 가장 많은 업종은 1488만원 늘어난 '300인 이상 금융보험업'(8750만원→1억238만원)이었다. 가장 적은 업종은 953만원 감소한 '300인 이상 교육서비스업'(5993만원→5040만원)'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교육서비스업의 임금총액 하락은 300인 이상 전체 사업체의 소정실근로시간이 2019년 대비 2022년 2.8% 감소한 데 비해, 300인 이상 교육서비스업의 소정실근로시간은 동 기간 15.8% 감소한 데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업종별 인상액·인상률 격차도 정액급여보다는 특별급여에서 더 두드러졌다. 교육서비스업의 정액급여는 69만원(-1.8%), 특별급여는 91만원(-19.0%) 각각 줄어든 반면 금융·보험업의 정액급여는 634만원(12.0%), 특별급여 660만원(31.2%) 인상됐다.

박은희기자 eh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