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한국서 SVB 유사사태 발생 확률 매우 낮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의 은행은 위험 관리가 엄격해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과 같은 유사 사태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두 연구위원은 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금리 위험과 유동성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바젤위원회 규제가 미국과 달리 모든 은행에 엄격히 적용되고 있어 SVB와 같은 사례가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은행은 위험 관리가 엄격해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과 같은 유사 사태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보험연구원의 윤성훈 선임연구위원과 최성일 연구위원은 ‘SVB 파산과 자산부채관리의 중요성’ 보고서에서 SVB 파산은 금리 위험과 유동성 위험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며 기본적으로 자산부채관리의 부재에 있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두 연구위원은 SVB가 금리 위험과 유동성 위험 관리에 소홀한 것은 바젤위원회 규제가 미국에 아직 엄격하게 도입되지 않았다는 점도 작용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SVB 파산은 은행과 보험회사, 증권회사 등 금융산업 전체에서 자산부채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시켰다”면서 “SVB 파산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달리 부실 자산 때문이 아니라 금리 위험과 유동성 위험 관리가 미흡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시스템 위험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두 연구위원은 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금리 위험과 유동성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바젤위원회 규제가 미국과 달리 모든 은행에 엄격히 적용되고 있어 SVB와 같은 사례가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들은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과 순안정자금조달비율 규제가 국내 은행에만 적용되고 은행지주회사에는 아직 적용되고 있지 않아 은행지주회사로 확대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권도형 측 “‘구금 연장’ 항소할 것”…외신도 조명
- [창+] 다이어트기능식품 좋다는데…실험도 논문도 제멋대로?
- “낳아도 한 명만”…출생아중 첫째아 비중 63%로 역대 최고
- 북한, 한미 연합상륙훈련 연일 비난…“광란적 군사연습”
- [씨네마진국] ‘시청률 지상주의’ 꼬집은 풍자극, 반세기 뒤 ‘다큐’가 되다
- 육견농장서 개 사체·뼈무덤 발견…계속되는 동물학대
- 차에 깔린 일본인 여행객 시민들이 구조…“감사합니다”
- [크랩] 챗GPT가 쓴 책 7일 만에 실제 출간…화제
- [경제대기권] 50만 원 대출에 몰린 사람들…언 발에 오줌 누기?
- 남성 간호사 3만 명 시대, 편견은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