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코로나 전보다 10.7% 올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4천650만 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에 비해 10%가량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오늘(26일) 발표한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특징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총액은 4천650만 원으로 국내 코로나 발생 직전 해인 2019년 4천200만 원에 비해 10.7% 늘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4천650만 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에 비해 10%가량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오늘(26일) 발표한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특징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총액은 4천650만 원으로 국내 코로나 발생 직전 해인 2019년 4천200만 원에 비해 10.7% 늘었습니다.
특히 성과급·상여금 등 특별급여 인상률이 13.6%로 기본급과 통상적 수당 등을 합한 정액 급여 인상률(10.3%)보다 높았습니다.
연평균 임금총액은 정액 급여와 특별급여를 합친 값의 평균을 뜻하고 정액 급여는 기본급 등 통상적 수당, 특별급여는 성과급·상여금 등을 말합니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연평균 임금 총액은 300인 미만이 2019년 3천795만 원에서 2022년 4천187만 원으로 10.3% 올랐고 300인 이상은 10% 인상됐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이 같은 기간 연평균 7천419만 원에서 8천713만 원으로 1천294만 원 올라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교육서비스업은 임금 총액이 4천432만 원에서 4천272만 원으로 3.6%(160만 원) 감소했습니다.
신지수 기자 (js@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권도형 측 “‘구금 연장’ 항소할 것”…외신도 조명
- [창+] 다이어트기능식품 좋다는데…실험도 논문도 제멋대로?
- “낳아도 한 명만”…출생아중 첫째아 비중 63%로 역대 최고
- 북한, 한미 연합상륙훈련 연일 비난…“광란적 군사연습”
- [씨네마진국] ‘시청률 지상주의’ 꼬집은 풍자극, 반세기 뒤 ‘다큐’가 되다
- 육견농장서 개 사체·뼈무덤 발견…계속되는 동물학대
- 차에 깔린 일본인 여행객 시민들이 구조…“감사합니다”
- [크랩] 챗GPT가 쓴 책 7일 만에 실제 출간…화제
- [경제대기권] 50만 원 대출에 몰린 사람들…언 발에 오줌 누기?
- 남성 간호사 3만 명 시대, 편견은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