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염 V자 형태”…“北 지하시설 ‘사일로’서 미사일 발사 가능성 낮아”

장재선 기자 2023. 3. 25. 20: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지난 19일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KN-23을 지하 발사시설 사일로(Silo)에서 발사했을 것 같지는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24일(현지 시간)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모습을 찍은 위성사진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일로 발사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북한전문매체 38노스, 19일 동창리 SRBM 발사에
“사일로 발사 배제할 수 없지만, 가능성은 작아” 분석
“공사 속도, 미사일 발사 후 주변 증거 사일로와 맞지 않아”
북한은 지난 19일 평북 동창리에서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 사진을 이튿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했다.

북한이 지난 19일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KN-23을 지하 발사시설 사일로(Silo)에서 발사했을 것 같지는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24일(현지 시간)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모습을 찍은 위성사진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일로 발사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밝혔다.

북한은 그동안 KN-23을 TEL이나, 열차에 실은 TEL에서 발사해왔는데 이 경우 화염이 바닥에서 옆으로 퍼지는 형태로 나타났다. 지난 19일에는 이와 달리 화염과 연기가 V자 형태를 보였다. 지하에 땅을 파서 만든 원통형 발사시설인 사일로에서 발사할 때 이러한 모습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처음으로 사일로에서 SRBM을 쏘아 올려 발사 플랫폼을 다변화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38노스는 "3월 초 이후 위성사진에서 새로 건설된 수평엔진시험대(HETS) 위쪽의 언덕 꼭대기에 사일로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관련 공사 진행 속도와 미사일 발사 이후 주변 증거 등은 사일로 발사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이 언덕 꼭대기 인근에서 지난 19일 KN-23을 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는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는 전술탄도미사일이다.

38노스는 3월 초 위성사진에 해당 위치에 급조한 미사일 사일로가 나타나기는 했으나 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이 매체는 "3월 1일 위성사진에 약 1m 깊이의 둥근 구멍과 그 옆에 놓인 정사각형 모양의 덮개가 관찰됐다"며 "미사일이나 미사일 발사관(캐니스터)의 길이에 맞추려면 암반층으로 추정되는 곳을 추가로 굴착해야 해 완공까지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38노스는 "3월 23일 위성사진에서는 이 구멍이 사각형 덮개로 덮여있고 주변에 파편이 원형으로 흩어져 있어 이곳이 발화점임을 시사했다"면서도 "하지만 이동식발사차량(TEL)을 구멍 위나 근처에 배치했을 수 있고 이 경우 (사일로 발사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어 실제로 미사일이 사일로에서 발사됐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 매체는 또한 통상 미사일 사일로는 KN-23 SRBM처럼 기동력이 좋아 찾아내기 어려운 미사일보다는 대형·장거리 미사일을 보호하고 숨기는 데에 사용된다고 부연했다. 38노스는 다만 3월 1일 위성 사진에서 구멍의 바닥이 매끈하고 밝게 보인 것이 사일로 안으로 내려진 미사일 캐니스터의 윗부분일 수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장재선 선임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