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폰 썼다가 두다리 잃은 모델…‘독성쇼크증후군’ 뭐길래

이하린 매경닷컴 기자(may@mk.co.kr) 2023. 3. 25.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황금 다리 모델’로 유명한 로렌 바서 [사진출처=인스타그램]
‘황금 다리 모델’로 유명한 로렌 바서가 한국을 찾으면서 그녀의 두 다리를 앗아간 ‘독성쇼크증후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패션모델 바서는 24세이던 지난 2012년 생리 중 탐폰을 사용한 후 독성쇼크증후군으로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그로부터 7년 후에는 왼쪽 다리마저 잃게 됐다.

양쪽 다리를 모두 잃게 됐지만 바서는 좌절하지 않았고, 황금 의족을 달고 패션모델로 활동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바서에게 독성쇼크증후군을 일으킨 탐폰은 체내형 생리대다. 해외에서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여성들도 많이 사용한다. 일반 패드형 생리대보다 피부 자극이 덜하고 편의성이 높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탐폰의 대표적인 부작용이 바로 독성쇼크증후군인데, 이는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급성질환이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여성의 질 속에 서식할 때는 위험하지 않지만 흡수력이 강한 탐폰 안으로 들어가면 빠르게 증식하는 경향이 있다.

또 탐폰을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질에 작은 상처가 나면 혈류에 침투해 독소를 내뿜으며 생명을 위협한다.

흡수력이 뛰어난 탐폰을 장시간 착용하면 질벽이 건조해지거나 질벽에 상처가 생겨 포도상구균 감염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로렌 바서 [사진출처=현대차]
전문가들은 탐폰을 사용하는 도중 고열이나 구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제거하고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출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 최근에 수술한 병력이 있는 경우,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 이력이 있는 경우엔 독성쇼크증후군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아 탐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고된다.

탐폰을 사용할 땐 적정 사용 시간인 4~6시간을 지키고, 장시간 교체하기 어려울 때는 패드형 생리대를 쓰는 것이 좋다.

수영할 때 탐폰을 사용했다면 사용 시간과 관계없이 수영 후 바로 교체하는 것이 안전하며 탐폰을 착용하기 전후로 손을 깨끗이 씻는 등 청결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한편 로렌이 이번에 한국을 찾은 이유는 현대자동차가 3월 22일부터 4월 9일까지 서울 성수동 AP 어게인에서 개최하는 ‘리스타일’ 전시 홍보대사로 참여하기 위해서다.

이번 전시는 현대자동차가 지난 4년간 자동차 폐자재를 이용해 ‘업사이클링(버려진 제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재활용 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물을 모두 모아 소개하는 자리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