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벨만스’, 영화를 사랑한다면 스필버그처럼[MD칼럼]

2023. 3. 25. 09: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곽명동의 씨네톡]

스티븐 스필버그(76) 감독과 동시대를 산다는 것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데뷔작 ‘대결’(1971)에서 얼굴없는 트럭 기사의 집요한 추격으로 긴장감을 쌓아올린 그는 ‘죠스’(1975)로 블록버스터의 신기원을 열며 흥행감독의 입지를 다졌다. 신비롭고 낭만적인 ‘미지와의 조우’(1977)를 거쳐 ‘ET’(1982)에선 자전거를 타고 밤하늘을 가로지르며 SF의 상상력을 마음껏 펼쳤다. 이어 ‘레이더스’(1982)의 인디아나 존스(해리슨 포드)를 내세워 4편에 걸쳐 관객을 어드벤처의 롤러코스터에 태웠다. ‘쥬라기공원’(1993)의 티라노사우루스는 지금이라도 스크린을 뚫고 나올 듯 생생한 이미지로 남아있다.

그는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담은 ‘쉰들러 리스트’(1994), 역대 최고의 전쟁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1998), 인간이 되고 싶었던 슬픈 로봇 ‘에이 아이’(2001), 미래의 디스토피아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 외계 생명체에 맞서는 가족의 사투 ‘우주전쟁’(2005), 복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뮌헨’(2005), 계략을 쓰는 방법까지 동원해 노예해방을 이루어낸 대통령 ‘링컨’(2012), 신념의 중요성을 강조한 ‘스파이 브릿지’(2015), 권력에 맞서는 언론인의 투쟁과 연대 ‘더 포스트’(2017), 가상현실의 위험성을 경고한 ‘레디 플레이어 원’(2018), 고전을 리메이크하면서 ‘정치적 부족주의’의 어두운 이면을 들춰낸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2021)를 뒤로하고 ‘파벨만스’로 돌아왔다.

부모님 손에 이끌려 처음으로 극장에 가게 된 여섯 살 소년 새미(가브리엘 라벨)는 스크린에 펼쳐진 영화 ‘지상 최대의 쇼’를 보고 큰 충격을 받는다. 큰 스크린 속에 영사된 기차의 충돌 장면은 계속해서 그의 머릿속에 맴돌아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 새미는 아빠(폴 다노)에게 선물 받은 장난감 기차로 사고 장면을 재연해보지만 부딪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은 단 한번 뿐. 그때 엄마 미치(미셸 윌리엄스)가 아빠의 8mm 카메라를 건네며 그 순간을 촬영해서 남기자고 제안한다. 그날부터 그는 카메라를 손에서 놓지 않고 일상의 모든 순간을 담아내며 영화와 사랑에 빠져든다.

‘파벨만스’는 스필버그 영화의 모든 것이 담겼다. 보이스카웃 시절 친구들과 2차 대전 배경의 영화를 찍을 땐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원형이 떠오른다. 장난감 기차를 여러차례 충돌시키며 촬영을 거듭하는 모습에선 훗날 액션 블록버스터를 능수능란하게 찍을 수 있었던 그의 열망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평소 “편집을 사랑한다”고 말한 그는 아빠가 사다준 편집기로 새로운 영화언어를 발명하며 영화의 매력에 흠뻑 빠져든다. 반유대주의를 드러내며 자신을 괴롭힌 동급생에 복수하는 에피소드는 그가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에서 나치를 궁지에 빠트렸던 이야기와 오버랩된다.

그는 과거 인터뷰에서 “만약 뭘 할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만큼 성공한다면, 나에게 의미 있는 이야기, 위대한 과업을 해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항상 스스로에게 말하고 했다”고 밝혔다. 후자가 ‘링컨’이라면, 전자는 ‘파벨만스’다. 그는 76살이 되어서야 가장 내밀한 과거의 기억과 마주했다. 스필버그 영화에서 아빠는 항상 부재하거나 아들과 불화했다. ‘ET’, ‘후크’, ‘인디아나 존스-최후의 성전’을 떠올려보라. 그는 부모님의 이혼을 아빠 탓으로 돌렸으며, 둘은 15년동안 왕래가 없다가 1990년에 화해했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 다시 한번 돌아가신 아빠를 감싸안는다.

스필버그가 ‘영화 만들기’의 테크닉을 하나 둘씩 체득해가는 과정도 흥미롭다. 총소리가 화면에 번쩍거리게 만드는 방법(셀룰로이드에 핀자국)을 깨닫고, 현실을 재구성하는 프레이밍과 편집의 힘에 눈을 뜬다. 그는 자신이 보지 못했던 것을 카메라로 알아낸다. 아빠의 친구로 늘 함께 살았던 베니(세스 로건)가 엄마와 비밀스러운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카메라를 통해 인지한다. 해변으로 떠난 ‘땡땡이의 날(Ditch day)’에서 자신을 괴롭힌 친구 한 명을 외톨이로, 또 다른 친구는 덩치만 큰 인물로 편집해 둘 모두 좌절감을 느끼게 만든다. 카메라와 영화는 그가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었고, 현실을 재창조하는 예술이었다.

공학적 마인드을 가진 아빠와 음악적 감수성을 지닌 엄마의 갈등, 애리조나를 떠나 낯선 캘리포니아에서 차별을 겪으면서도 그는 영화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관객은 어느새 ‘스필버그의 시네마천국’을 관람하며 한 소년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세계적 거장으로 성장할 수 있었는지 목도하게 된다. 가족과 영화, 꿈과 예술, 도전과 모험 등 스필버그의 영화 세계가 한 프레임씩 펼쳐질 때마다 우리도 시네마키드가 된다. 극의 마지막, 어느 거장의 조언 듣고 감동을 받은 그는 부푼 마음으로 길을 나선다.

이후 스필버그가 걸었던 길은 우리 모두가 꿈꾸던 세상이었다.

[사진 = CJ엔터테인먼트]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