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LETTER] 힙합같은 삶을 살다간 미국의 설계자…전략가를 기다리며

2023. 3. 25. 08: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DITOR's LETTER] 



“매춘부와 스코틀랜드인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 그리고 고아. 카리브 제도의 이름 모를 섬에서 가난하게 살던 놈이 어떻게 영웅에 학자까지 된 거지?”

뮤지컬 ‘알렉산더 해밀턴’은 이 질문으로 시작됩니다. 미국 초대 재무장관의 일대기를 그린 뮤지컬은 2015년 최초로 무대에 올려졌지요. 지금은 브로드웨이 역사상 최고의 뮤지컬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디즈니플러스에도 올라왔지요.

이 뮤지컬은 기존에 없던 형식을 택했습니다. 랩 중심의 뮤지컬. 힙합과 재무장관이라…. 좀 웃기지 않습니까. 미국 사람들도 처음엔 웃었다네요. 뮤지컬을 기획하고 작사 작곡에 출연까지 한 사람은 린마뉴엘 미란다입니다. 2009년 어느 날 백악관. 버락 오마바 전 대통령 부부는 시와 음악을 통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행사를 열었습니다. 미란다도 초대받았습니다. 그 자리에서 “힙합 앨범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 사람의 삶이 힙합 그 자체인 알렉산더 해밀턴의 이야기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오바마 부부를 비롯해 참석자들은 웃음을 터뜨렸습니다. 그는 말을 이어 갔습니다. “지금 웃으셨지요? 진짜란 말입니다.”

힙합. 1970년대 폐허로 변해 가던 뉴욕 브롱스 빈민가에서 탄생한 흑인과 히스패닉들의 음악, 자신의 삶과 생각을 비트에 담아 날리며 현실을 버텨 내는 소외된 자들의 무기…. 의지할 곳 하나 없던 해밀턴의 삶이 힙합 정신과 닿아 있다고 미란다는 생각했습니다.

지금 한국의 힙합그룹 호미들의 ‘사이렌’이란 곡을 들으며 글을 쓰고 있습니다. “엄마 내가 돈 못 벌면 파 호적, 차라리 죽는 게 나으니, 얼른 가난을 졸업하고 말 거야, 난 반드시 변하지 않아 나의 목적, 평생 한길만 팠으니, 멈추지 않아 나의 도전, 난 잃을 것 없는 하층민…어릴 적에 생긴 상처들을 다 명품 옷으로 위장, 내가 죽는 한이 있더라도 절대 잃지 않아 희망.” 한국의 힙합도 절절하지 않습니까?

장비도, 기기도, 교육도 없이 오로지 자신의 몸과 사고, 본원적 감각으로 무장한 언어만으로 현대 음악의 주류가 된 힙합과 해밀턴의 삶 사이에서 미란다는 평행선을 발견한 듯합니다. 연결은 창의적이었습니다.

해밀턴의 삶은 농장주의 자식으로 태어나 온실 속에서 자란 다른 미국 건국의 아버지(founding father)들과 달리 절박했습니다. 사생아·고아·이민자였기 때문입니다. 그는 주어진 극한의 조건을 극복하고 10달러 지폐의 주인공이 됐습니다. 미국의 설계자이자 최고의 행정가로 불립니다. 많은 평론가들은 “우리는 해밀턴이 설계한 제도 속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 중앙은행 제도를 창안했고 달러 중심 화폐 제도를 정립했습니다. 국채를 발행해 신생국 미국의 경제를 안정시켰습니다. 워싱턴을 수도로 정한 것도 그였습니다. 관세 제도를 정비해 제조업 발전의 초석을 닦았습니다. 농업이 주업이었던 시대에 무역·산업·증권·은행이 복잡하게 얽힌 세상을 예견하고 준비했습니다. “토머스 제퍼슨이 정치적 민주주에 대한 시를 썼다면 해밀턴은 경제적 자본주의에 대한 산문을 완성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초대 재무장관에게 주어진 숙제를 깨끗이 해결한 그에게서 우리는 전략가의 전형을 봅니다.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실현 가능한 솔루션을 만들어 끈질기게 실행하는 세 가지 요건 말입니다.

하지만 죽음은 허무했습니다. 정적이자 부통령이었던 애런 버가 “해밀턴이 나를 비난하고 다닌다”며 청한 결투에 응했다가 총을 맞습니다. 미국의 위대한 설계자는 힙합같은 인생을 살다가 47세에 막장 드라마 같은 죽음을 맞습니다.

알렉산더 해밀턴 얘기를 한 것은 지금 대한민국도 건국 초기 미국에 못지않게 절박하게 전략가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을 경제 성장으로 이끌었던 토대가 된 세계화, 달러와 자유주의에 기반한 미국의 단극 체제가 한꺼번에 해체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정세에 주변의 국가들, 미국·중국·러시아·일본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전략을 짜고 그에 맞춰 딱딱 움직이는 듯한 느낌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전략가도 전략도 보이지 않습니다.

전략을 얘기하고 보니 “가장 좋은 전략은 후배들이 신나게 일하게 하는 것”이라던 선배가 생각납니다. 조직이 숨막힐 때 에어포켓 같은 역할을 다하고 회사를 떠나는 한 선배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표하며 글을 닫습니다.

김용준 한경비즈니스 편집장 junyk@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