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의원들 “틱톡은 中공산당의 美감시 무기”… 틱톡CEO “中기관원 아냐, 美에 데이터 저장”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2023. 3. 25.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하원이 23일(현지 시간)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저우서우쯔(周受資) 최고경영자(CEO)를 증인으로 출석시켜 틱톡의 안보 위협에 관한 청문회를 개최했다.

캐시 로저스 하원 에너지통상위원장(공화당)은 5시간가량 진행된 이날 청문회에서 "틱톡은 중국공산당이 미국인을 감시, 조작하고 미래세대를 착취하는 무기"라며 "틱톡이 더 많은 통제, 감시, 조작의 길을 반복적으로 선택했다. 금지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기업 CEO출석 청문회 13년만
블링컨 “어떻게든 틱톡 위협 끝내야”
中 “美, 안보 위협 증거 제시 못해”
美의회 불려나온 틱톡 CEO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저우서우쯔 최고경영자(CEO·앞줄 가운데)가 23일(현지 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하원 청문회에 등장해 “틱톡은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홍보하거나 삭제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참석한 미 의원들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틱톡은 중국공산당이 미국을 조종하고 착취하는 무기”라며 즉각 퇴출을 촉구했다. 워싱턴=AP 뉴시스
미국 하원이 23일(현지 시간)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저우서우쯔(周受資) 최고경영자(CEO)를 증인으로 출석시켜 틱톡의 안보 위협에 관한 청문회를 개최했다. 외국 기업의 CEO가 미 의회 청문회에서 증언한 것은 2010년 일본 도요타의 리콜 사태 이후 13년 만이다.

집권 민주당과 야당 공화당 의원들은 “틱톡은 중국공산당의 무기이며 (미국에서 아예) 금지돼야 한다”고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중국 당국은 24일 “미국이 억지 탄압을 계속하고 있다”고 맞서는 등 틱톡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캐시 로저스 하원 에너지통상위원장(공화당)은 5시간가량 진행된 이날 청문회에서 “틱톡은 중국공산당이 미국인을 감시, 조작하고 미래세대를 착취하는 무기”라며 “틱톡이 더 많은 통제, 감시, 조작의 길을 반복적으로 선택했다. 금지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에너지통상위 민주당 간사인 프랭크 펄론 의원도 “(틱톡의 주장과 달리 틱톡이 미국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판매하는 일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토니 카르테나스 의원(민주당) 역시 틱톡에서 한때 유행했던 ‘숨 참기 챌린지’ 등으로 미국 청소년이 숨진 사례 등을 지적하며 “(틱톡 금지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라고 가세했다.

싱가포르 출신인 저우 CEO는 “바이트댄스는 중국 기관원이 아니다”라며 “미국 직원이 관리하는 미국 회사가 미국 땅에 틱톡의 데이터를 저장한다”라고 해명했다. 다만 그 또한 자신의 자녀는 틱톡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청문회장 밖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어떤 방법으로든 (틱톡의 위협을) 끝내야 한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틱톡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하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반발했다.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틱톡이 미 국가안보를 위협한다는 어떤 증거도 미국이 제시하지 못했다”며 중국이 데이터 보안을 매우 중시한다고 맞섰다. 중국 상무부 또한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틱톡 지분 매각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미국 밖에서도 틱톡 금지 움직임이 확산되는 등 전 세계적인 틱톡 경계령이 불고 있다. 이날 영국 의회는 “업무용 기기에 틱톡 설치를 금한 정부 방침을 따를 것”이라고 했다. 스코틀랜드 자치정부 또한 공무원 업무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