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권도형, 美 투자회사와 짜고 시세 조작”
[앵커]
가상화폐 테라·루나 사태를 불러온 권도형 대표가 어제 유럽 몬테네그로에서 체포됐습니다.
지금까지는 테라의 가격 붕괴가 지난해 5월 일어났던 걸로 알려졌지만 실은 그 전에도 가격 급등락은 반복됐습니다.
그 때마다 권도형 대표는 '알고리즘에 따라 가격이 복원됐다', '그게 테라의 강점이다'라고 홍보했지만 실은 미국 대형 투자회사의 도움을 받아 인위적으로 가격을 복원한 정황이 미국 정부의 수사로 드러났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상화폐의 특징 중 하나는 '가격 급등락'입니다.
가장 덩치가 큰 비트코인도 최근 3년 간 두 배 넘는 폭으로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 했습니다.
테라는 이런 단점을 극복했다고 홍보했습니다.
1테라 가격이 1달러 선을 유지하도록 알고리즘을 짰다는 거였습니다.
[권도형/테라폼랩스 대표/2021년 1월 : "테라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루나 코인이 스테이블 코인(테라)의 가격·공급 변동성을 완화해 스테이블 코인들이 안정성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런데 출시 5개월 뒤인 2021년 5월, 이런 자신감이 무색해지는 일이 벌어집니다.
1테라 가격이 0.95달러 밑으로 떨어지더니 계속 회복되지 않았고 일주일이 지나서야 1달러 선을 회복한 겁니다.
당시 테라 측은 "다소 늦었지만 알고리즘이 작동한 결과"라고 공표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수사 결과는 달랐습니다.
미국의 한 대형 투자회사가 테라를 비공개로 대량 매수했고 이 힘으로 가격이 복원된 정황을 포착한 겁니다.
또 이 회사가 또다른 가상화폐인 루나를 시세보다 훨씬 싸게 넘겨받아 큰 차익을 본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미 증권거래위는 업체 이름을 비공개했지만 테라의 전 개발자는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점프크립토'라고 지목했습니다.
[A 씨/전 테라폼랩스 개발자/음성변조 : "'점프크립토'와 권도형 사이에 극비리 계약이 있었다. 스테이블 코인(테라)의 가격은 1달러에 유지시키고 그리고 루나의 가격을 좀 띄우는, 이제 그런 역할을 했다라고..."]
KBS는 비밀 계약의 존재와 내용을 질의했지만 점프 측은 테라의 가격에 관여한 바가 없다고 밝혀 왔습니다.
미국 뉴욕남부지검도 어제(23일) 권도형 대표를 별도로 기소하면서 알고리즘이 아니라 '비밀 매수 계약'의 힘으로 가격이 복원됐다고 공소장에 담았습니다.
우리나라 검찰 역시 관련 수사자료를 미국에서 넘겨받아 사기 혐의의 보강 증거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양민철 기자 (manofsteel@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SEC “권도형, 美 투자회사와 짜고 시세 조작”
- [단독] 방첩부대 확대…대령 보직 10여 개·인원 120명 늘린다
- 검찰, ‘TV조선 재승인 심사 의혹’ 한상혁 방통위원장 구속영장 청구
- 4년 만에 36만 그루 벚꽃 향연…진해 군항제 전야제
- ‘판사인데 농업경영?’…정정미 후보자 농지법 위반 의혹
- “K푸드 열풍인데…등록된 한식 이름은 8개 뿐”
- ‘우주택배’ 시대 온다…민간기업 우주 경쟁 치열
- 국회, ‘저출생 법안’ 봇물…‘軍 면제’ 등 황당 대책도
-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 수당 중단…“식비까지 아껴요”
- 봄철 ‘발목 삐끗’ 단순 염좌 아닐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