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해수호 용사 55명 호명한 尹, 北도발 맞선 희생 잊지 말아야

2023. 3. 24.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제2연평해전과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전 등에서 북한 도발에 맞서 서해를 지키다 산화한 영웅 55인의 이름을 불렀다. 그는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누군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다짐"이라며 영웅의 이름을 1명씩 불렀다. 단 한 명의 예외 없이 그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기리겠다는 뜻이다. 정치 지도자라면 마땅히 그래야 한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온몸을 던진 영웅이 없다면 대한민국의 경제적 성취와 자유와 인권은 불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영웅들의 희생에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하고, 그들이 자신의 목숨과 바꿔 지켜낸 이 나라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지키겠다고 다짐하는 것이야말로 영웅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북한은 서해 수호의 날 전날까지도 도발을 계속했다.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핵무인수중공격정' 수중 폭발 시험을 했다. 수중공격정을 진해·평택 등 대한민국의 해군 작전기지나 미군 항공모함에 몰래 접근시켜 핵공격을 할 수 있다는 협박이다. 22일 북한은 모의 핵탄두를 탑재한 전략순항미사일을 600m 초저고도 상공에서 폭발시키는 시험도 했다. 저고도에서 핵폭탄이 터지면 살상 반경이 수 ㎞에 이르게 된다. 수십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며 단호한 대처를 다짐했다. 당연히 해야 할 말을 한 것이다. 국가 안보가 무너지면 영웅들의 희생은 무의미해진다. 국가의 존재 이유마저 의심받게 될 것이다.

그런데도 문재인 정권은 서해 수호의 날을 찬밥 대우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8년, 2019년, 2022년까지 세 차례나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 불참했다. 국가 지도자 스스로가 호국의 의미를 퇴색시킨 것이다. 그는 2020년과 2021년에는 참석했으나 각각 그해 4월 총선과 5월 보궐선거를 의식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인 국민의힘과 달리 지도부가 올해 기념식에 불참했는데 영웅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민주당은 어느 나라 정당인지 묻고 싶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